韓 399만8000원 日 379만1000원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 韓 더 커

한국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의 임금 수준이 일본보다 높지만 임금 격차는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일본의 임금 격차는 좁혀졌다. 대기업 임금이 감소하고 중소기업 임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1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02년과 2022년 20년간 한국과 일본 기업 간 임금을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일 임금 현황 추이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일본의 절반에도 못 미쳤던 한국 대·중소기업 임금은 2022년 일본을 넘어섰다.
2002년 한국의 1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는 상용근로자 월 임금 수준은 179만8000원이었다. 일본은 당시 385만4000원이었다. 그런데 20년 후 한국은 399만8000원으로 122%나 상승했다. 반면 일본은 20년 후 379만1000원으로 한국보다 뒤졌을 뿐 아니라 20년 전보다 임금이 1.6%가량 하락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상승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은 이 기간 대기업 임금이 더 크게 상승한 반면 일본은 중·소기업 임금 상승 폭이 더 컸다. 즉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한국은 증가한 반면 일본은 줄어들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 대기업 임금은 2002년 228만4000원에서 2022년 588만4000원으로 올랐다(+157.6%).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160만8000원에서 339만9000원으로 상승했다(+111.4%).
반면 일본 대기업은 483만6000원에서 443만4000원으로 줄었고(-6.8%), 중소기업은 310만6000원에서 326만9000원으로 늘었다.(7.0%)
근로 시간 조정까지 감안하면 한국의 실질 임금 인상률은 더 큰 것으로 경총은 분석했다.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포함해 월 근로 시간이 20년 사이 13.8% 감소(초과근로 시간 제외)했다. 그동안 월 임금 총액(초과급여 제외)은 122.3% 증가했다. 시간당 임금도 2002년 9954원에서 2022년 2만5661원으로 157.8% 올랐다.
반면 일본은 근로 시간과 임금도 거의 변동이 없다. 이 기간 일본 대기업은 시간당 임금이 9.7% 감소했다.
한일 경제성장률과 기업 규모별 임금 인상 폭을 비교하면 한국 대기업 임금 인상률은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 상승률보다 더 높았다. 20년간 한국 1인당 명목 GDP 증가율(154.2%)보다 대기업 시간당 임금 인상률(183.1%)이 더 높았던 것이다.
일본은 이 기간 1인당 명목 GDP가 8.8% 증가했다. 대기업 시간당 임금은 9.7% 하락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한국은 시간당 임금 인상률이 152.5%로, 1인당 명목 GDP 증가율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일본 중소기업은 시간당 임금 증가율이 8.9%로 일본 GDP 증가율과 거의 비슷하다.
다만 한국의 높은 대기업 임금 상승률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소속 국민 간의 더 큰 임금 격차를 발생하게 했다. 2022년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할 때 중소기업 임금 수준은 57.7로 나타난다. 반면 대기업 임금이 감소하고 중소기업 임금은 소폭 상승한 일본은 임금 격차도 줄면서,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놓고 볼 때 중소기업은 73.7이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임금 격차와 이에 따른 이중구조 심화가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고 있는 만큼 고임금 대기업일수록 임금인상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청년 일자리 확대와 중소협력사의 경영 여건 개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면서 "최근 일본이 임금 인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는 지난 20년간 임금수준이 제자리에 머물렀던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