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물량·금액 모두 전년 대비 증가
수입 금액·물량 하락 광산품·화학제품 가격↓
순상품교역조건지수 3년 만에 증가세 전환

반도체 가격 회복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국내 수출금액지수는 석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반도체 가격 회복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국내 수출금액지수는 석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국내 수출금액지수는 반도체 가격 회복 등 영향으로 석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광산품과 화학제품 가격 하락으로 수입금액지수는 하락했다. 3년 만에 수출가격이 수입가격보다 커지면서 이전과 같은 양을 수출하더라도 더 많은 상품을 수입할 수 있게 됐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달러 기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출금액지수는 1년 전보다 3.3% 오른 132.85(2015년 100 기준)였다. 지난해 10월과 11월에 각각 2.3%와 7.2%씩 상승한 데 이어 3개월째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품목별로는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운송장비, 농림수산품이 각각 9.9%, 10.4%, 10.2% 상승하며 제1차금속제품(-7.7%), 화학제품(-2.9%)의 하락을 만회했다.

이에 곤해 유성욱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반도체의 경우 수출물량은 지난해 5월부터, 수출금액은 11월부터 전년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수출물량지수는 1년 전보다 6.2% 오른 132.14를 기록했다. 9월 이후 4달째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출물량지수 역시 컴퓨터·전자·광학기기(16.4%), 운송장비(7.1%), 농림수산품(23.4%) 등이 상승을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로 지난해 12월 수입금액지수와 수입물량지수는 1년 전보다 각각 11.7%, 7.1% 감소한 146.92와 124.71을 기록했다.

수입금액지수에서는 광산품(-16.3%), 화학제품(-14.4%), 전기장비(-15.5%) 등의 수입금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수입물량의 경우 전기장비와 기계·장비 등이 각각 12.1%, 11.7% 하락하며 지수를 떨어트렸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기준시점인 2015년의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이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수출물량지수·금액지수 /한국은행
수출물량지수·금액지수 /한국은행

한편 지난해 연간 기준 수출금액지수와 수입금액지수는 2022년보다 각각 8.3%, 12.5% 하락한 125.35, 148.81로 집계됐다.

수출물량지수는 2022년 대비 0.6% 오른 123.51, 수입물량지수는 3.8% 떨어진 124.83이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2022년보다 0.2% 상승한 85.14를 기록하며 2020년 이후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 그 원인이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 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한 단위를 수출할 때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하는 데 활용되는 지표다.

순상품교역지수 상승에 대해 유 팀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가격과 물량이 조금씩 증가했고, 수입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천연가스, 원유 가격이 하락 안정세를 보였다"며 "지난해 자동차, 운송장비도 좋아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