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영의 세계음식이야기]
신년 축하를 위한 일본의 와쇼쿠(和食)
다이어트식 이탈리아 지중해식 식문화
몽골인의 소울 푸드인 발효유 아이락
한 해를 마무리 하고 새해를 맞이하면서 많은 사람이 건강과 장수를 소망한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100세를 넘게 사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인생을 마감하는 날까지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은 큰 축복이다. 영양적 균형이 잘 잡힌 음식을 가족이나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먹는다는 것은 이런 장수의 삶을 누리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유네스코에서도 이러한 건강에 좋은 장수 음식과 문화적 배경을 선정하여 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하고 있다.
신년 축하를 위한 일본의 전통 식문화 와쇼쿠(和食)

신년을 축하하기 위한 일본의 전통 음식문화인 와쇼쿠는 역사적·지리적으로 고유한 특산물을 이용해서 다양하고 풍성한 음식을 만든다. 일본인들은 새해를 맞이하여 지역별 신선한 재료를 이용하여 화려하게 장식한 오세치(御節, 정월이나 명절 등에 쓰는 특별 요리), 조니(雑煮, 떡국) 및 도소(屠蘇, 소주의 일종)와 같은 특별한 식사를 준비한다.
지역에서 생산된 쌀과 생선, 채소 등과 같이 자연 그대로 현지에서 조달한 식재료를 사용한 와쇼쿠는 영양학적으로 균형이 잘 잡혀 있을 뿐 아니라 풍미가 풍부한 다시 및 발효 양념은 동물성 지방을 대신함으로써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는 데 기여하여 비만을 예방하기도 한다.
이러한 와쇼쿠 요리는 특별한 식기에 담아, 가족과 공동체 구성원들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건강과 사회적 결속을 기원하며 함께 식사한다. 이런 식사 자리는 노인들이 어린이에게 와쇼쿠라는 사회적 관습의 의미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장이 되기도 한다.
다양하고 영양적 균형이 잘 잡힌 전통적인 식사를 함께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돕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가족이나 공동체의 결속을 돈독히 하는 사회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일본의 전통 식문화인 와쇼쿠는 새해를 맞아 공동체가 협력하여 음식을 준비하면서 연대감과 동료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함께 음식을 준비하고 나누면서 자연이 선물한 식재료에 대해 함께 감사하고 공동체 구성원과의 결속감을 강화하는 일본의 와쇼큐 음식문화를 2013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다.
세계적인 다이어트식 이탈리아 지중해식 식문화

지중해식 식문화(Mediterranean Diet)는 지중해 연안의 풍부한 해산물과 지역에서 수확되는 농산물로 만든 음식으로 세계적인 장수음식으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 지중해식 식사를 하며 나누는 대화는 지중해식 식문화를 표현하고, 지중해식 식사를 즐기며 상대방을 축복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수천 년 동안 이어진 지중해식 음식은 올리브유와 신선한 해산물, 토마토, 바질잎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양을 공급해 주면서 자극적이지 않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이러한 건강음식을 예술적 감성으로 만든 도자기 식기와 유리잔에 담아 일상식 뿐 아니라 각종 행사나 축제 등의 문화 공간과 함께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면서 흥겹게 대화를 주고받는 것은 남녀노소·사회 계층·조건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을 하나로 묶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중해식 식문화는 영양 섭취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예술적, 사회적으로 뛰어난 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발효유인 아이락을 호후르에 담아 만드는 몽골의 전통 기술과 관련 풍습
발효식품은 세계적인 장수식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중에서도 몽골의 발효유인 아이락을 호후루에 담아서 만드는 전통기술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아이락은 암말의 젖을 짜서 신선한 마유(馬乳)를 차게 식힌 후 호후르 안에 담아 넣고 마유를 500회 이상 반복하여 저어준 뒤 발효종을 넣어 발효시키는 방식이다.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 되는 발효음료인 아이락은 몽골인들의 일상 식단에서 매우 중요하며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또한 아이락은 다양한 축제 및 제물, 의식 축복 등에서 거룩한 음료로 매우 중요하게 이용하고 대접하고 있다.
거품이 나는 맛있는 아이락은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 되는 음료이며 단백질, 지방, 미네랄, 비타민 A, 비타민 C, 약간의 비타민 B, 그리고 충분한 양의 아미노산을 함유한 식품이다. 또한, 결핵이나 신경증, 빈혈, 동맥경화, 위산 분비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건강음료이다.
몽골인들은 흰색을 신성하게 여기고 있으며 흰색의 아이락은 행복을 상징하기도 한다. 아이락은 다양한 사회적 축하 행사뿐만 아니라 신성한 산이나 장소에 제물을 바칠 때, 하늘과 땅을 섬기는 아이락 헌주(獻酒) 의식을 수행할 때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관습은 사회구성원들의 결속력을 강화하며 국가 연대를 상징하기도 한다.

한국의 김치가 세계적인 건강음식으로 선정된 것처럼 일본의 와쇼쿠 신년축사 전통식문화, 이탈리아의 지중해식 식문화, 몽골의 아이락 만드는 전통기술 등도 세계적인 장수음식으로 손색이 없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된 음식들은 단순히 음식의 영양과 효능 측면에서뿐 아니라 가족이나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함께 음식을 만들고 나누는 전통을 더욱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 음식은 가족이나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음식을 함께 해야 그 맛과 기쁨은 그 배가 된다.
편리한 즉석식품을 즐기고 혼자 밥먹는 것이 흔해진 요즘의 음식문화는 점점 건강과 장수와는 거리가 멀어지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 2024년 새해에는 주변을 돌아보고 음식을 함께 만들고 나누는 여유를 좀 가져보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 [전지영 더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세계 음식(1)
- [전지영 더봄] 내 인생의 소울 푸드 ‘어묵’의 세상풍경
- [전지영 더봄] 한·중·일 시험 합격 기원 음식들
- [전지영 더봄] 전쟁과 세계음식(2) 세계 각국의 전투식량
- [전지영 더봄] 전쟁과 세계음식(1) 세계 전투식량의 역사
- [전지영 더봄]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1)
- [전지영 더봄]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2)
- [전지영 더봄]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호떡 이야기
- [전지영 더봄] 새콤달콤한 세계의 딸기 이야기
- [전지영 더봄] 세계인의 마늘 사랑, 이렇게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