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영의 세계음식이야기]
마늘의 역사로 살펴본 마늘 숭배 사상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향신료인 마늘
세계 각지에서 펼쳐지는 마늘 축제
마늘을 다져서 냉동실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썼는데 마늘이 갑자기 떨어지니 할 수 있는 요리가 별로 없었다.
매일 먹는 김치뿐 아니라 국, 찌개, 무침 요리, 볶음 요리 등 한국 요리에는 거의 다 마늘이 들어간다. 마늘의 강한 향이 생선이나 고기의 잡냄새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식욕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들이 마늘을 많이 먹어서인지 외국인들은 한국인들한테 마늘 냄새가 난다고 한다. 곰이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었다는 건국 신화에서도 등장하는 마늘은 한국인들에게는 향신료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마늘의 역사로 살펴본 마늘 숭배 사상
5000년 전 고대 이집트 인들은 마늘을 숭배해 마늘에 대고 맹세를 하거나 사후 세계에서도 마늘이 인간을 보호해 준다고 믿어 파라오와 함께 매장했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마늘이 정력이나 원기를 보하는 강장제(强壯劑)라는 것을 알고 피라미드 건설에 종사한 노동자들에게 마늘을 먹였다는 기록도 있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마늘에 최음효과가 있다고 생각해 사랑과 다산의 상징인 이슈타르 여신에게 마늘을 올렸으며 전사와 운동선수 모두에게 힘과 지구력을 제공한다고 믿어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해 경기 전에 마늘을 먹였다고 한다.
중세 시대에는 마늘이 악령을 쫓는다고 믿어 마늘 화환으로 출입구를 장식하거나 전쟁에 나가는 기사들도 마늘을 지니고 전쟁에 참여했다.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향신료인 마늘
전 세계적으로도 마늘은 가장 인기 있는 향신료이며 오랫동안 지중해 지역과 아시아에서 요리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었다.
마늘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중국이며, 그다음이 한국이다. 인도에서도 마늘을 즐겨 먹는데 간디도 마늘을 매우 좋아해서 고기를 먹지 않는 대신 모든 음식에 마늘을 넣어 먹었다고 한다. 서양권에서는 마늘을 많이 소비하지는 않지만,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마늘을 사용하는 요리가 꽤 많다. 프랑스 요리에서도 소스에 마늘을 많이 이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토마토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고 고급 요리에도 많이 쓰인다.

북유럽에서는 기후상 마늘을 키우기가 어려워서인지 마늘을 잘 소비하지 않는다. 마늘 대신 양파 소비량이 많다.
중동 지방에서도 마늘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데 튀르키예가 그리스 요리의 영향을 받아 마늘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지중해를 끼고 이집트와 직접 교류가 있던 지역이라 이집트에서 먹던 마늘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세계 각지에서 펼쳐지는 마늘 축제
세계 각국에서는 세계적인 사랑을 받는 마늘을 주제로 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미국 길로이에서는 매년 3일간 1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마늘 축제가 열린다. 다양한 마늘 음식과 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프랑스의 남부지역 아이유 마늘 축제에서는 화려한 가면 공연과 함께 마늘 요리 대회가 열리는데, 프랑스 마늘의 다양한 맛과 조합을 경험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마늘 페스티벌은 마늘 농가들이 모여 마늘의 재배 비법을 공유하며, 신선한 마늘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도 마늘 소비국 1위 중국에서 마늘 축제가 개최되고 있는데 마늘의 효능과 효과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와 전시가 열린다.

고대 문명에서 현대 세계에 이르기까지 마늘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의 마음과 미각을 매혹시켜 왔다. 면역강화, 심장보호, 항염증 작용 등의 효능으로 세계적으로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슈퍼푸드 마늘은 오늘도 세계인의 식탁에서 다채로운 요리로 사랑받고 있다.
마늘 없이는 어떤 요리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으면서 우리 일상에 소중한 식재료 마늘을 당장 구입하러 가야겠다.
※위 포스터를 클릭하시면 지원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관련기사
- [전지영 더봄] 새콤달콤한 세계의 딸기 이야기
- [전지영 더봄]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호떡 이야기
- [전지영 더봄]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2)
- [전지영 더봄] “부자 되세요~~” 부를 기원하는 세계 음식 (1)
- [전지영 더봄] 유네스코 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세계의 장수음식(2)
- [전지영 더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세계 음식(1)
- [전지영 더봄] 신혼부부가 먹는 이것 수프···양파가 뭐길래?
- [전지영 더봄]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돼지고기를 대하는 자세
- [전지영 더봄] 녹차 밥에 얼음물까지?···세계의 산후조리 음식
- [전지영 더봄 ] 건강식품 두부의 글로벌 레시피
- [전지영 더봄] 세계인의 웰빙푸드 비빔밥···레시피 검색도 넘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