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기 "가계 부채 위기 발생하면"
"과거 유행 '영끌' 대출·투자 위험"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29일 "가계 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기업 부채로 인해 우리가 겪었던 외환위기의 몇십 배 위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대 협의회에서 "가계 부채 문제는 잘 관리해야 하는 대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특히 과거 정부에서 유행한 '영끌 대출'이나 '영끌 투자' 이런 행태는 정말로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요즘 소상공인들 사정이 매우 어려운 것 같다"며 "고금리·고물가가 주요 원인이지만, 급격히 오른 최저임금 부담과 저출산으로 인한 인력 부족 등 구조적 요인도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국빈 방문과 관련해선 24조원에 달하는 수주가 이뤄졌다며 "아랍에미리트(UAE)까지 포함해 지난 1년간 수주는 100조원이 넘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더구나 세계 최고의 부국들이 지금 대한민국을 경제 협력 파트너로 삼으려고 하고 있다.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현 정부 들어 한국의 위상이 급격히 올라간 이때 이를 경제 회복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규제 완화, 인력 개발 등 기업 환경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강정영 더봄] 집값은 또 오르고 큰 집 인기는 여전할까
- [깐팩] ‘외환 방파제’ 외평기금 ‘36조 세수펑크’ 메운다? 오해와 진실
- [경제 0면] 살림살이 팍팍해도 성장률 전망은 2%···‘극심했던 무역 적자 덕'
- “아부지 빚덩이 굴러와유” 가계대출 눈덩이에 정부 ‘진퇴양난’
- 맥도날드, 빅맥 인상 '원재료' 탓하더니···주원료 호주 소 44% 하락
- 尹정부의 MB식 물가 잡기···총선용 통제에 식품업계 '울상'
- 중동 경제사절단, 식품서 발전까지 업무 협약 성과
- ‘페널티가 된 내 새끼’ 저출산 블랙홀 韓···“100조 쏟아부어도 해결 못 해”
- 너도나도 빚으로 버티기···3분기 산업 대출 1875조원 '역대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