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사청문회 출석 답변
성범죄 감형에 "나름 최선 다해"
증여세 탈루엔 "법에 따라 행동"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는 19일 과거 판사 시절 성범죄에 관대했다는 지적에 "신중하게 결론을 내려고 노력했고 부끄럼 없는 재판을 했지만 국민 눈높이에 다소 맞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양형 편차를 없애는 것이 고등형사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현재는 (성범죄에 대해) 무관용에 가깝게 형이 선고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여성의 약 38%가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는 심상정 정의당 의원의 질의에 이 후보자는 "사회적 약자들이 살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면 형사재판을 하는 모든 판사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성 인지 감수성이 부족한 판결을 했다는 지적이 나왔을 때도 "권고형의 범위 내에서 신중히 형량을 정했다"고 해명했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그간 이 후보자의 성폭력 범죄 판결을 보면 사회적 약자 보호에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하자 이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다소 어긋날지 모르겠지만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내린 결론이었다. 그간 판결한 사건을 보면 형량을 중형으로 올린 건도 여러 건 있다"고 답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2020년 12살 아동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의 항소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7년을 선고했다.
또 만기 출소 8일 만에 13세 여학생을 강제 추행한 피고인의 항소심에서는 징역 18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17세 딸을 성추행한 피고인의 항소심에서는 징역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자는 "항소심 성폭력전담부에서 6개월간 일했는데 저희 재판부 3인은 1심 양형 편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며 "1심 선고 후 양형 변경 사정을 고려해야 했고 숙고한 끝에 판결을 내렸다"고 밝혔다.
여야는 이날 이균용 후보자의 처가 회사·부동산, 자녀 증여세 등 재산 관련 의혹을 놓고 맞붙었다.
서동용 민주당 의원은 “공직자윤리법도 위반, 신고 제대로 안 했고, 수천만원 해외 송금 다 누락, 그 과정에서 증여세를 탈루한 의혹도 충분해 보인다”며 “범죄를 저지른 것”이라고 몰아세웠다.
이 후보자는 이에 “저는 법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이에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인사청문회가) 증인으로 두 분 자녀나 사모님을 불러서 물어보는 자리가 되어야 하는지, 안타깝다”며 “처가댁이 돈 많은 게 무슨 죄인가? 제가 보니까 돈도 없던데”라고 엄호에 나섰다.
관련기사
- [성기노 칼럼] 이균용의 ‘웃음’과 유인촌의 ‘자전거’
- 비정규직 여성 5명 중 2명 "직장에서 성희롱 피해" 호소
- 지마켓, 사내 성추행에 '피해자'만 퇴사···"11번가는 가해자 면직"
- 여가부 '비동의 간음죄' 철회···與 "여가부, 사회 갈등 조장 집단"
- 성범죄 온상에 놓인 여성 시각장애인···"흰 지팡이 들기 무서운 세상"
- 대법원장 임명동의 35년만의 무산···巨野 부결에 정국 냉각
- 보수 원칙주의자 '조희대' 전 대법관 대법원장 후보로 임명
- ‘성범죄자 변호’ 野 조수진에···與 여성 후보들 "피해 아동 인격 짓밟아"
- 민주 여성위 "성폭력 피해자 최말자님 무죄 구형을 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