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사무처, 플랫폼 구축 착수
의원·보좌진 의정활동 보조

28일 오후 국회 의정관에서 '생성형 AI와 국회업무 활용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이상무 기자
28일 오후 국회 의정관에서 '생성형 AI와 국회업무 활용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이상무 기자

전 세계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국회도 대화형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각종 법령·판례와 통계·자료 등을 학습한 서비스로 국회의원들의 의정 활동을 보조할 계획이다.

28일 오후 국회 의정관에서 '생성형 AI와 국회업무 활용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강사로 나선 송태민 히든브레인연구소 소장이 참석한 보좌진을 상대로 강의를 진행했다.

송 소장은 "국회 생성형 AI 플랫폼은 대형언어모델(LLM)에 입법 등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통합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본적으로 법령을 학습하고, 국회의원 의정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안 검토 보고서, 심사 보고서, 국정감사 자료 등 국회가 축적해 온 방대한 데이터도 탑재된다는 설명이다. 

강의에서는 플랫폼이 사용자의 지시대로 일정 키워드로 분류된 국회 관련 데이터를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제시하면, 원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빠르게 취사선택하는 등의 예시가 시연됐다.

국회사무처는 현재 ISP(정보화전략계획) 단계로 올해 말까지 여러 세부 사항을 확정한 뒤 이 프로젝트를 실제 구축할 사업자들을 따로 선정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ISP 사업이란 정보 시스템을 만들기에 앞서 구축할 정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상황과 조직이 지향해야 할 목표 등을 정하는 일종의 컨설팅 단계다.

해당 서비스가 등장하면 복잡한 입법 과정을 단축하고 중복되는 일을 줄여 의정 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러한 자료들이 디지털 문서로 보관된 것은 아니어서 향후 종이 문서나 문서 파일 형태의 데이터를 언어모델이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적지 않은 시간·비용이 들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사무처는 지난해 통계청, 한국은행,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재정정보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과 칸막이식으로 진행되던 기관별 정책 데이터 수집을 통합하고 이를 기계학습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방안 등에 합의하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추후에는 이를 대국민 서비스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법 조문, 국정 감사 자료 등 다양한 자료와 통계들이 통합될 예정인 만큼 정치 과정에 참여하고 이를 감시하려는 국민들의 알 권리와 참정권 등을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