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42명·타지키스탄 12명 등
野 한준호 "예산·행정력 고스란히 낭비"

2023 새만큼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 조직위원회가 조기 퇴영한 스카우트 대원들의 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탓에 숙소 배치 과정에서 혈세 낭비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준호 의원실에 따르면 조직위가 태풍을 피해 8일 전국 각지 대학과 기업 연수원, 교회 등으로 숙소를 재배정했던 500명의 대원이 실제로는 잼버리 대회에 참가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위의 ‘숙소 재배치 계획’과 여성가족부가 제출한 ‘잼버리 참가 현황’을 비교 분석하면, 앞서 입국도 안 했는데 숙소를 배정해 논란이 됐던 예멘 175명과 시리아 55명을 포함해 튀르키예(42명),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14명), 타지키스탄(12명), 세인트루시아(10명), 솔로몬제도(10명), 바레인(9명) 등 18개국 500명의 스카우트 대원이 잼버리에 참가하지 않았다.
참가국 인원 파악에도 오류가 있었다. 애초 그리스(96명)·잠비아(13명)·보츠와나(10명)로 예상해 배정했으나 실제는 그리스(91명)·잠비아(5명)·보츠와나(6명)이다.

결국 숙식 지원에 나섰던 연세대학교·한양대학교·GS건설 등은 조직위가 통보한 인원만큼 준비했으나 혼란을 겪었다.
한준호 의원실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에 “자료의 출처는 조직위 관계자로 의정활동을 통해 제출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가부는 앞서 입국조차 하지 않았던 예멘 대원 175명과 시리아 대원 55명을 충남 홍성군 혜전대 기숙사와 경기 고양시 NH인재원으로 배정했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다. 실제 스위스, 수리남, 세인트루시아, 솔로몬제도, 바레인 대원들이 배정됐던 A 대학 기숙사에는 스위스와 수리남 대원들만 입소했다.
한 의원은 “국제대회를 개최할 때 몇 명의 인원이 참가했는지 파악하는 것은 대회 운영의 기본인데도 조직위가 기본 업무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며 “조직위의 부실한 운영 행태로 500명의 숙소 및 음식 제공을 위한 예산과 행정력이 고스란히 낭비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여가부 문책 딜레마···잼버리 파행에 폐지론 경계
- [성기노 칼럼] ‘잼버리 실패’ 윤석열 정권 ‘총선 폭망’ 위기론
- 野 여가위 간사 신현영 "이제는 잼버리 참사 원인 감별할 시간"
- '잼버리 파행', 이번주 감사원 감사 착수 작업 들어간다
- "잼버리 국정조사 우리가 감시하겠다"···청년공인회계사 나섰다
- '국제 망신' 잼버리 운영 부실에 정치권 책임 공방
- "여가부 장관 화장실 숨었나"···국회 여가위, 김현숙 불참에 추격전
- [국감] 김현숙 "잼버리 초기 '준비 완벽하다' 허위 보고 받아"
- 민주당 양경숙 전주을 출마 “尹정권 심판, 새만금 지키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