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3시 50분께 발사
합참 "감시 결과, 발사 실패"
한미 연합 훈련 견제가 목적

북한이 지난 5월 이후 85일 만에 2차 정찰 위성 발사를 시도했지만, 이번에도 실패했다.
25일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전 3시 50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며 "발사 후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고 실패로 결론지었다"고 밝혔다.
이전에 북한은 이달 24일부터 31일 사이에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 정부에 통보한 바 있다. 지난 5월 31일의 첫 번째 발사에서도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이 발사 직후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 추락한 바 있었다. 이번 2차 발사에서는 발사체가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중앙통신은 오전 6시 15분에 발표한 기사에서도 2차 발사가 실패로 끝났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신형위성 천리마 1형의 1단과 2단 추진체는 정상적으로 작동했지만, 3계단 비행 중에 비상 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전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오는 10월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차 발사 때도 북한은 "천리마 1형은 정상 비행하던 중 1단 분리 후 2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며 실패를 인정한 바 있다. 이날 북한의 발사 시간대 기상청의 위성 및 레이더 영상을 보면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 구름이 끼고 중·남부에는 비가 내렸지만, 위성을 쏜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이 있는 평안북도 일대만 구름과 비가 모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북한이 밝힌 위성 발사체 잔해물 낙하 예상 지점은 한중잠정조치수역에 포함된 북한 남서 측 서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이었으나, 일본 당국은 북한 우주발사체의 낙하물이 모두 예고 구역 밖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6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가장 심각한 결함으로 꼽고, 곧 성공적으로 재발사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로켓 엔진 결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정보원은 17일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은 7월부터 발사체 신뢰도 검증을 위해 엔진 연소시험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이번 발사가 성공하더라도 군사 정찰위성으로서의 효용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도 군 당국은 5월에 서해에 추락한 '만리경 1호'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조사한 결과, 군사적 효용성이 거의 없다고 평가한 바 있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불법 행위로,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 징후를 사전에 식별하여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며 "이번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북한의 이번 정찰위성 발사는 이달 21일 시작돼 31일까지 진행되는 한미 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훈련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녹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