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 측, 급식조리사·돌봄전담사 등 8만명 참여 예상
연대회의 “협상 접점 못 찾으면 내년에도 파업” 경고

전국학교비정규직 연대회의(연대회의)가 25일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전국 학교의 급식과 돌봄이 일부 중단된다. 교육당국은 대체인력 투입과 대체식 제공으로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24일 연대회의에 따르면 전체 조합원 10만명 중 8만여 명이 총파업에 돌입한다. 연대회의는 학교 내 비정규직 노조 3곳이 연대한 단체로 급식 조리사와 돌봄 전담사 등이 소속돼 있다. 교육당국은 가장 큰 차질이 예상되는 학교급식은 식단을 변경하거나 간편식을 제공하고 이마저도 어려우면 빵과 우유, 개인 도시락 등으로 대신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교육공무직 2만2000여 명 중 약 5500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교직원을 최대한 투입하기로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조합원 3만여 명 중 9000여 명(30%)이 파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10월과 12월 총 2차례의 파업을 진행했다. 10월 파업에는 2만5000여 명이 참여했으며, 2899개교(전국 1만2403개교 중 23.4%)에서 급식에 차질이 빚어졌다. 12월 파업에는 7000여 명이 참여했고 1020개교(8.2%)에서 급식이 운영되지 못했다. 이번에는 작년보다 참여 규모가 확대돼 더 많은 학교에서 급식 운영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방과후 초등돌봄교실은 의견 수렴을 통해 운영 여부를 결정한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인원과 학교 관리자 등이 자발적 참여로 진행한다. 특수교육지도사는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해 학습권 보장에 노력하기로 했다.
연대회의는 정규직과의 복리후생비 차별 철폐를 포함한 임금체계 개편, 급식실 노동자 폐암 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추후 교육당국과 교섭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장기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연대회의는 지난 22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25일 총파업을 시작으로 12월에는 지역별 투쟁을 이어가고 시·도 교육청과 교육부, 국회 등이 화답하지 않으면 사상 최초로 2023년 신학기 파업도 경고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