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Car 톡]
테슬라, 브랜드 론칭 수년 만에 '프리미엄' 인식 완성
기존 내연기관 제작 업체들, 미래 불확실성 커져가
소비자 선택 폭도 넓어지면서, 시장 변화 빨라질 듯

내연기관 완성차 업계 미래는 어떻게 될까? 전기차가 급증하다 보니 내연기관차 제작 업계의 불확실성은 커져만 가고 있다. 내연기관만 다루던 업체는 앞으로의 사업 방향을 잡는 것 자체가 어려운 시대가 된 것이다.
현대차, BMW, 벤츠, 아우디 등 제작사들은 미래형 전기차와 기존 내연기관차와의 생산 비율을 어떻게 할 것인지도 고민이 될 것이다. 각종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는 물론이고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도 품질과 가격 등을 따지기 전에 '가솔린이냐 전기냐'는 등의 고민이 필요해졌다. 신차를 구입하는 조건 자체가 복잡해졌다.
더욱이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신차 출시가 많이 늦어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신차 출시의 효과도 반감되고 있다. 자동차 마케팅 측면에서도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신차 출시 후 예약자들에게 먼저 보급하면서 신차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하는데, 약 1년 후에 받게 되면서 신차 의미가 희석됐기 때문이다.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 때문에 유명 자동차 브랜드들도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까?' 하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면 마세라티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도 친환경 차의 흐름에 따라 최근 하이브리드차가 출시되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변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 아직은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명성을 이어가고 있지만, 전기차 전환은 아닌 만큼 이전의 명성을 이어간다는 보증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테슬라 등 새로운 전기차 브랜드가 생겨나고 있고, 이들이 기존 내연기관 브랜드를 앞지를 수도 있다. 즉 기존 브랜드를 잠재우고 새롭게 등장하면서 새로운 자동차 왕조가 탄생한다는 뜻이다. 이미 테슬라가 그 시작점이다. 자동차 완성도는 그렇게 높지 않지만, 실시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인 OTA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오토파일럿 등 자율주행 기술을 돋보이게 하면서 새로운 프리미엄으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지난 3년간 약 10번의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신차가 부족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새로운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명성이 붙었기 때문이다. 현대차 그룹의 제네시스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도 내연기관차로 출발했지만 오는 2025년이면 전 차종이 전기차로 전환되면서 새롭게 프리미엄 전기차로의 승격을 준비하고 있다.
전통적인 브랜드를 프리미엄으로 유지하려는 세력과 새롭게 프리미엄으로 등장하는 제작사들 사이의 전쟁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는 전통을 통한 미래 지향적 전략이 중요했으나 전기차라는 새로운 차종으로 역사를 단절하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차종의 경우는 얼마든지 다시 프리미엄으로 구축될 수 있다. 향후 5~10년 사이가 가장 중요한 시기일 것이다. 확실히 새로운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김필수 한국전기차협회 회장
한국전기자동차협회와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 한국수출중고차협회 등 여러 자동차 협회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세계인명사전(미국) 후즈 후 인 더 월드 (Who's Who in the World)에 2000년~2020년까지 21년 연속 등재됐다. 현재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로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