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총서 이준석 징계 후속 조치 논의
당원권 정지 ‘사고’로 결론
"위기 극복 위해 당력 하나로 모을 것"

국민의힘이 의원총회를 통해 권성동 원내대표의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추인했다. 이준석 대표가 당 윤리위로부터 '6개월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은 상황에서 차기 지도체제를 놓고 수습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힘은 11일 오후 2시간여 의총을 진행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결의문을 채택했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결의문을 통해 "국민의힘 국회의원 전원은 다음과 같이 엄숙히 결의한다.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당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위기 극복을 위해 당력을 하나로 모으겠다"며 "국민의힘이 커다란 그릇이 되겠다. 이 그릇에는 다양한 목소리가 있을 수 있어도 대한민국 위기 극복이라는 하나의 큰 소리가 국민께 들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국정 추진에 최선을 다해 함께 하겠다"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하나다. 윤석열 정부가 만들어갈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를 위해 야당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은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헌‧당규 해석에 따라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가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며 “그 과정에서 비대위 구성이나, 임시전당대회 개최 등을 주장한 의원이 있었으나 소수의 목소리에 그쳤다”고 했다.
앞서 이날 오전 당 기획조정국에서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는 당대표의 ‘궐위’가 아닌 ‘사고’로 보는 게 맞다고 최고위에 보고했고, 이에 대해 최고위원 전원이 동일하게 해석했다. ‘궐위’가 아니기 때문에 전당대회는 열 길이 없다는 데에 동의한 것이다.
이후 국민의힘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은 국회에서 비공개회의를 열고 당내 혼란 수습 방안 등을 논의했다. 다만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인 장제원 의원을 비롯해 정우택, 윤상현, 김학용, 김도읍, 권은희 의원 등은 불참했다.
안철수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대표 사고로 인한 직무 정지에 동의하는가'라는 질문에 "현재 엄격한 해석상 사고로 보는 게 맞다는 게 사무국의 입장"이라며 "저도 동의한다"고 답했다.
반면 한 초선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6개월 간 직무대행 체제는 너무 길다"며 "지지율이 빠지는 국면인데, 집안싸움이 계속 길어지면 반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5선 조경태 의원도 "궐위가 아니라고 해서 6개월 후에 복귀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데, 이미 당대표로서 내상을 크게 입어 국민께 보여지는 모습이 좋지 않다"며 "집권여당의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듯 빨리 전당대회를 열고 새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