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역풍 경계
김근식 "읍참마속으로 수습 기대"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출근하며 자녀의 편입학 특혜 의혹과 관련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출근하며 자녀의 편입학 특혜 의혹과 관련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각종 의혹과 관련 공정성 논란이 확산되자 국민의힘 일각에선 거취 결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민생경제연구소·개혁과전환을위한촛불행동연대 등 5개 시민단체는 18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등 혐의로 정 후보자와 경북대 의대 부학장이었던 박태인 교수 등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했다.

정 후보자는 △딸 의대 부정 편입학 의혹 △아들 의대 부정 편입학 의혹 △아들 KCI 급 논문 부정 게재 의혹 △두 자녀의 경북대병원 봉사활동 관련 △아들 병역 신체검사 판정 의혹 △병원장 시절 해외 친목 모임 △농지법 위반 관련 등 '7대 의혹'에 대해 전날 해명했지만 논란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선 지명을 철회하라고 공세를 폈다.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 시절 조국 전 법무부장관 관련 의혹이 일자 전방위 압수수색을 했다는 점을 들어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내세웠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정 후보자의 거취를 두고 문제 제기가 잇따랐다. 6월 지방선거 전 윤석열 정부의 공정과 상식이라는 기치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적극적인 불법행위를 하진 않았더라도, 자녀의 편입 과정과 정 후보자의 걸어온 길을 돌아보면 국민의 일반적 눈높이에서 바라볼 때 쉽게 납득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며 “정 후보자는 이해충돌 의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도록 거취에 대해 직접 결단해달라”고 지적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정 후보자 논란은 법리적 판단이 아니라 정무적 판단이 중요하다”며 “장관은 정무직이다. 법리적으로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억울하더라도 자진사퇴를 해주시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캠프 전략비전실장이었던 김근식 경남대 교수 역시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끝까지 조국(전 법무부 장관)을 비호하고, 사퇴 후에도 ‘마음의 빚’이 있다고 애석해 함으로써 국민의 분노를 자아냈다”면서 “새 정부의 성공적인 출범을 위해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잘 수습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한 재선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내로남불 프레임이 작용하면 새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깎인다"며 "현재 윤 당선인 지지율이 퇴임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과 엇비슷한데 더 낮아질까 우려된다"고 했다.  

반면 '윤핵관'으로 분류되는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만약 청문회에서 중대한 결격 사유가 밝혀진다면 그때 가서 인사의 잘못을 지적해도 늦지 않다"며 "비판보다 검증이 우선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