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저는 해군 대위 출신, 튼튼한 안보 먼저"
沈 "이성과 국제 규칙에 따라서 평화 외교"

남북 관계에 대한 여야 대선 후보의 입장이 엇갈렸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평화는 힘에 의한 억제력에서 나온다"며 강력한 안보를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싸우지 않고 이겨야 한다"며 "무력으로 억제해서 전쟁에서 이기는 것은 하책"이라고 했다.
25일 서울 마포구 SBS 프리즘타워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남북 관계와 외교' 분야 TV 토론회에서 4명의 각 대선 후보가 남북 관계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이 후보는 "다 부서지고 죽고 이기면 뭐 하겠냐"라며 "지금 우크라이나 심각하지 않나,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더 중요한 것은 싸울 필요가 없게 만드는 평화"라면서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만큼 중요한 게 어딨겠나. 한반도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 위협하고 거칠게 대해서 전쟁 위험을 제고시키면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평화는 힘에 의한 상대 도발 억지력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1950년도에 북한의 침략에 대해서 우리의 군사력으로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면 과연 6·25 전쟁과 같은 참극은 겪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대 비위 맞추고 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평화를 얻을 수 없다"며 "강력한 안보는 민생·경제 번영의 기초가 된다. 북에 집착한 현 정부의 외교 기조는 미국, 중국, 북한, 일본으로부터 다 외면당했다"라고 밝혔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평화 외교'를 강조했다. 심 후보는 "분단과 지정학적 위치를 볼 때 한국 대통령의 외교 안보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감정과 혐오가 아니라 이성과 국제 규칙에 따라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두는 평화 외교를 펼치겠다"고 전했다.
추가로 심 후보는 미국과 중국의 눈치 보는 외교를 탈피하고 대한민국을 선진국 위상에 걸맞게 한반도 평화를 위한 외교 공간을 능동적으로 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저는 해군 대위 출신"이라면서 "평화는 튼튼한 안보에서 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에 대해서는 대화에 진정성을 가져야 하지만 북핵 문제와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해야 한다"며 "즉, 냉철한 국가적 이성을 갖고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안 후보는 "현 정부는 너무 민족적인 감성에 의존하다 보니 여러 가지 국익에 훼손되는 일을 많이 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