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7개 단지 재건축 확정
재초환 등 규제가 사업 변수 

여의도 시범아파트 /연합뉴스
여의도 시범아파트 /연합뉴스

여의도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이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도 사업 속도를 높이고 있어 눈길이 쏠린다. '여의도 1호 재건축'인 대교아파트를 비롯해 한양·시범아파트 등 주요 단지들이 사업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20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여의도 일대 아파트 12개 단지 중 7곳이 재건축 사업 추진을 확정했다. 

1977년 준공된 목화아파트는 지난 3일 최대 49층, 428가구 규모의 정비계획을 확정했고, 한양아파트는 재건축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8부 능선'을 넘었다. 이어 15일엔 대교아파트가 재건축 시공사로 삼성물산을 선정하며 7곳 중 시범·공작·대교 3개 단지가 시공사를 확보했다. 

10·15 대책에도 여의도 재건축이 순항하는 이유는 서울시와 자치구인 영등포구가 재건축 추진에 강력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어서다. 공급 절벽을 해소해야 하는 서울시로서는 속도가 더딘 소규모 재개발보다는 대단지 재건축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오 시장이 여의도·목동 노후 아파트 재건축을 대표 성과로 내세우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면서 이같은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여의도 재건축은 오 시장이 내건 '2031년까지 31만 가구 착공' 계획의 핵심 공급 축이기도 하다. 정비업계 추산에 따르면, 여의도 12개 노후 아파트 단지가 모두 재건축되면 총가구 수는 현재 약 7000가구에서 1만 가구 수준으로 늘어난다. 

오 시장의 역점 사업인 신속통합기획도 여의도 재건축 속도를 가속화하는 데 일조했다.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1호 사업장인 대교아파트는 조합설립 후 1년7개월 만에 사업시행인가를 획득했는데, 이는 일반 재건축보다 1년 이상 빠른 속도다. 한양아파트 역시 신속통합기획으로 정비계획 결정 이후 1년 7개월 만에 사업시행계획이 인가됐다.

최근에는 조합과 지자체의 주요 갈등 원인이던 '기부채납' 문제도 상당 부분 봉합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데이케어센터 등 기피 시설을 수용하고, 용적률 인센티브를 확보해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다.  

시범아파트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서울시와의 갈등을 장기화하느니 일정 부분 기부채납을 타협하고, 사업을 빨리 추진하는 방식으로 비용 효율화를 택한 것"이라며 "주민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외부인 유입으로 인한 불안보다는 데이케어센터 설립으로 인한 장점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