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안 사칭, ‘체포영장 취하금’ 요구
폭행당한 듯 위장 촬영한 사진 부모 협박
경찰 “중국발 조직적 전화사기 가능성”

중국 공안국을 사칭한 인물이 일본 내 중국인 유학생에게 접근해 “체포영장이 발부됐다. 취하하려면 돈이 필요하다”며 속이고 돈을 마련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납치된 척하라’는 지시를 내린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의 부모는 약 3000만 엔(한화 약 2억7000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도쿄도경(警視庁)은 한 중국인 유학생이 자가 구속 사진을 찍는 등 ‘가짜 납치극’을 벌인 사실을 방범카메라 분석과 이른바 ‘릴레이 수사’를 통해 확인했다. 실제 납치는 없었으며 조직적 사기임이 드러났다.
경찰에 따르면 피해자는 도쿄에 거주하는 중국인 여성 유학생이다. 그는 지난 5~6월경 ‘중국 공안국’을 자칭하는 인물로부터 전화를 받고 수십만엔을 송금했다. 이후 8월 같은 인물이 “부모에게 돈을 보내게 하려면 납치된 것처럼 위장하라”고 지시했다.
유학생은 얼굴 일부를 붉게 칠해 폭행당한 듯 보이게 하고 스스로 몸을 묶은 채 사진을 찍어 범인에게 전달했다. 이 사진은 곧 중국에 있는 부모에게 ‘납치 증거’로 전송됐다. 범인 측은 부모에게 거액의 몸값을 요구했고 부모는 요구에 응해 약 3000만 엔을 송금했다. 사건은 일본 내 지인을 통해 신고되면서 드러났다.
경찰은 “중국 공안이나 수사기관을 사칭한 전화사기는 2023년부터 일본 내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만 최소 3건 이상의 유사 피해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수사 관계자는 “이 같은 조직적 사기 수법의 근원은 중국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번 사건은 전화와 영상통화, 메신저를 이용한 국제 조직 사기의 전형적 형태로 일본 경찰은 범행 경로와 송금 흐름을 추적 중이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