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 축제·조형물로 중국음식문화거리 공식화
외국인 상권 활성화 두고 지역 공존 해법 시험대

중국어 간판 옆에 걸린 태극기. 자양동 중국인 밀집 지역 /김현우 기자
중국어 간판 옆에 걸린 태극기. 자양동 중국인 밀집 지역 /김현우 기자

중국인 밀집 지역 일명 차이나 타운이 서울 동부권까지 영향력을 키웠다. 더클래식500, 더샵스타시티, 건국대병원 등 고급 실버타운과 주상복합이 위치한 광진구에 중국인이 몰려들고 있다.

자양동은 한강 조망권 아파트, 뚝섬유원지 도보 통행 가능 지역이라는 장점이 있다. 잠실과 강남권 교통망도 지하철 2호선과 잠실대교를 통해 쉽게 드나들 수 있다. 

그런데 지난 10여 년 간 자양 4동 노룬산 골목시장부터 건대입구역 남쪽까지 이어진 다세대 주택 구역에 중국인 마을 수요가 커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대림동만큼은 아니지만 규모가 커지는 편"이라고 했다. 이어 "중국인 마을 규모가 커지면서 주민 불만도 적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했다.

해당 지역은 2000년대 중후반 중국식 양꼬치집 몇 곳이 들어서면서 골목의 풍경이 달라졌다. 불과 10여 년 사이 이 일대는 70여 개 중국 음식점이 들어선 거리로 변했다. 훠궈·도삭면·동북식 가정요리까지 다양하다. 간판 절반이 중국어로 도배됐고 식당 안팎에서도 중국어가 먼저 들린다.

광진구 자양동이 서울 동부의 새 중국인 밀집지로 부상했다. 구가 축제와 거리 조성에 나서며 상권이 급성장했지만 주민 반발과 치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현우 기자
광진구 자양동이 서울 동부의 새 중국인 밀집지로 부상했다. 구가 축제와 거리 조성에 나서며 상권이 급성장했지만 주민 반발과 치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현우 기자

실제로 행정안전부의 2023년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광진구의 외국인주민은 2만4570명(인구 대비 7.1%), 중국 국적(한국계 포함) 비율이 가장 크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 기준으로 광진구의 등록 외국인은 1만4715명이다. 이 중 중국인은 6500명으로 2024년 기준 서울시 전체 등록 외국인 수(20만5712명)의 3.15%를 차지한다.

거리 초입엔 환전소와 휴대전화 매장이 나란히 있다. 중국식 노래방과 중국어 학원이 같은 건물에 있고 유학생과 교민, 동포가 섞인 손님층이 상권을 이룬다. 

주민 사이에선 “구청이 세금으로 외국인 특화 상권을 키운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로 광진구는 ‘건대양꼬치거리 음식축제’를 후원하며 거리를 홍보해 왔다.

이 지역은 지난 2016년 6월 12일 외국인 범죄예방 특별구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당시 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영등포구 대림동 △구로구 가리봉동 △용산구 이태원동에 이어 광진구 자양동을 '외사 치안안전구역'으로 지정, 특별형사활동 대상으로 추가한다고 밝혔다.

경찰은 특히 '양꼬치' 업체가 밀집한 거리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손꼽았다. 경찰에 따르면 같은해 4월 기준 서울 광진구 내 등록 외국인은 1만4940명이며, 범죄자(피의자)는 458명에 달했다. 이들 대다수는 중국인이다.

현재 2025년 기준 해당 지역의 최신 통계는 2016년 경찰청 보도자료 이후 찾기 힘든 상황이다. 

서울연구원의 '이주민 상권의 공간변화 연구(2023)'는 자양4동을 “조선족 중심의 음식문화 상권으로 발전한 사례”로 꼽았다.

연구진은 “대림동이 서남권의 대표 차이나타운이라면 자양동은 동부권의 새로운 거점이 되고 있다”며 “행정이 상권 관리와 주민 공존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성경제신문 김현우 기자 hyunoo9372@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