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장관 구금문제 해결 위해 방미
현행 비자 제도 탓, 후속 조치 취할 것
韓 전문인력 입국·취업 비자 카테고리
트럼프 "신속·합법적으로 추진할 예정"

미국 백악관이 사상 초유의 미국 배터리 공장 한국인 근로자 300명 구금 사태와 관련해 한미 협의를 통한 후속 조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1일 미국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앤디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 겸 부통령 안보 보좌관을 접견하고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 해결과 비자 제도 개선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조 장관은 미국 측이 필요한 조처를 하고 있음을 확인한 만큼 비자 카테고리 신설 등 재발 방지를 위한 한미 워킹그룹 협의에 집중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에 베이커 부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 아래 이뤄진 대규모 대미 투자가 현실화하고 있지만 현행 비자 제도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했다"라며 이번 사안이 의미 있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미 협의 등 후속 조치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미 행정부가 한미동맹 발전을 위해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충분히 투입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구금된 한국 근로자들은 미국 측으로부터 향후 재입국 시 불이익 없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하루 늦은 11일 정오께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미 투자 기업들이 미국에 파견하는 근로자의 비자 문제가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조 장관은 방미 과정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 한국 전문 인력을 위한 새로운 미국 입국·취업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논의할 양국 워킹그룹 구성을 제안했고 루비오 장관은 이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우리는 훌륭한 기술적 재능을 가진 인재가 합법적으로 들어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길 권장한다"라며 "이를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