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문화 정착 위해 계속 보존해야"
참사 당일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이한 가운데 서울시의회 앞에 있는 세월호 기억 공간을 지키기 위한 관련 단체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기억 문화의 정착을 위해 해당 공간이 꼭 필요하다는 태도다.
15일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하루 앞두고 4·16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월 16일의 약속 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가 서울시의회 앞 세월호 기억 공간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세월호 기억 공간은 2021년 8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로 해체된 후 광화문에서 시의회 내 임시 공간으로 옮겨졌다가 같은 해 11월 시의회 앞에 자리 잡았다.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당인 제10대 시의회의 협조 속에 2022년 6월 30일까지 장소 사용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2022년 7월 1일 국민의힘이 다수당인 11대 시의회가 들어선 뒤 사용 허가를 연장하지 않고 자진 철거를 유도하기로 하면서 기억 공간은 무허가 건축물이 됐다.
관련 단체는 2026년 말 경기도 안산에 4·16 생명 안전 공원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광장을 쓰게 해달라는 입장이다. 류현아 활동가는 여성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추모 공간 자체도 필요하고 광화문에서 함께 만든 역사가 있다"라며 "세월호 자체가 전 국민적인 참사였었고 이때 사람들의 생각도 많이 바뀌었기에 의미가 크다. 그런데도 이렇게 지우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 같아 계속 얘기를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류 활동가는 독일의 기억 문화를 언급하며 한국에서도 해당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은 유대인 학살 같은 것들을 학교에서 가르치고 많은 시간을 할애해 해당 사건을 어떻게 책임질 것인지를 교육한다"라고 하며 "한국의 경우 계속해서 죽음을 삶으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려고 하는 풍조가 있다. 기억 문화를 확산해야만 시민사회가 바뀔 수 있다"라고 말했다.
국가에서도 이에 맞춰 세월호 사건 보존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최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목포 고하도 신항만 배후 부지에 내년 초 '국립 세월호 생명 기억관'이 착공될 예정이다. 기억관은 세월호 선체를 영구 보전해 추모와 안전 교육 등 복합시설로 활용하는 사업이다.
관계자들은 안전한 세상을 위해 계속 움직이겠다고 밝혔다. 김선우 4·16연대 사무처장은 여성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을 하게 된 계기를 두고 "아무래도 다들 비슷한 마음일 것 같다. 현재는 그분들의 일이지만 결국 미래의 내가 저런 재난 참사의 피해자가 될 수 있겠다는 동질감이 컸던 것 같다"라고 했다.
김 사무처장은 세월호 참사 초기부터 11년 동안 활동해 왔다. 그는 "피해자들이 11년 동안 진실을 찾는 길을 걸어왔다는 게 놀랍다"라며 "어떤 행위를 해도 죽은 사람은 돌아올 수 없지만 조금이라도 안전한 세상을 위해서 노력한다는 사실이 가장 큰 힘이 된 것 같다"라고 했다. 김 사무처장은 "시민들이 처음에 했던 기억 하고 행동하겠다는 약속들이 여전히 지켜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라고도 덧붙였다.

세월호 관련 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행적이 담긴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를 대통령기록관에 청구했다고 밝혔다. 단체는 "세월호 참사는 국가가 구조해야 할 국민을 지키지 못한 비극으로 여전히 온전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라며 "특히 참사 당일 박 전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은 진실을 밝히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일의 대통령기록물은 단순히 박 전 대통령의 동선을 넘어서, 대통령 비서실, 경호실, 국가안보실이 생산하거나 접수한 모든 전자기록, 녹취, 지시 사항 등을 포함한다"라며 "정부 위기 대응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반드시 공개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문제가 된 해당 기록은 2017년 당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돼 30년간 봉인된 상태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