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학기 특수학급 804개 신설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과밀학급이 전년 대비 1000개 이상 줄었다. /연합뉴스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과밀학급이 전년 대비 1000개 이상 줄었다. /연합뉴스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과밀학급이 전년 대비 1000개 이상 줄었다.

8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5학년도 1학기 전국 특수학교 및 일반 학교 특수학급의 과밀학급 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1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특수학교 및 유·초·중·고 특수학급 중 과밀학급은 총 742개다.

지난해 1882개에서 1140개 감소했다. 특수학급에서 과밀학급이 차지하는 비중도 작년 10.1%에서 올해 3.8%로 6.3%포인트 줄었다. 올해 1학기 전국 초·중·고에서 특수학급이 800개 이상 신설됐다.

특수교육법상 특수학급 설치 기준은 유치원 4명, 초등·중학교 6명, 고등학교 7명이다. 교실이나 교원 부족으로 기준 학생 수를 초과할 경우 과밀학급으로 분류한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교육청의 과밀학급 비중이 작년 17.3%에서 올해 3.8%, 경기교육청은 14.1%에서 2.7%로 줄었다. 제주와 울산, 세종시교육청의 과밀학급 비중은 작년 각각 27.2%, 0.2%, 7.7%였는데 올해는 모두 해소됐다.

이 밖에도 서울 12.0%→7.8%, 부산 14.6%→7.1%, 대구 2.4%→0.5%, 인천 17.3%→3.8%, 광주 3.1%→0.2%, 대전 10.8%→4.5%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과밀학급 비중이 줄었다. 다만 전남은 6.0%에서 6.3%로 소폭 올랐다.

최근 특수교육 대상자 증가로 과밀학급이 늘면서 특수교육 여건 악화 우려가 커지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특수학교와 일반 학교의 잉여 공간을 확보, 올해 1학기 특수학급을 804개 신설했다. 또 기간제 교원 임용을 지원해 특수교사 부족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늘어나는 특수교육 수요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역별 과밀학급 비율 등 특수교육 여건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도교육청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정수 기자 essence@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