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커머스 입점 통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 대체로 긍정적 평가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 등 부정적 영향도
"입점·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 확대 필요"

국내 중소기업 절반가량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이미 활용 중이거나 향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에 따르면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제조업·유통업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국 이커머스를 현재 활용 중인 기업은 29.7%, 향후 활용 계획이 있는 기업은 21.0%로 나타났다. 활용 경험과 계획이 모두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9.3%였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 이커머스 활용 방식으로는 '입점을 통한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가 65.2%로 가장 많았고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병행수입)'가 11.2%, '원자재·부품 조달'이 6.7%로 뒤를 이었다.

중국 이커머스 진출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4.7%로 '부정적' 15.3%보다 높았고 '변화 없음'은 60.0%에 달했다. 긍정적 이유로는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47.3%),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14.9%) 등이 꼽혔으며 부정적 이유로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45.7%), 브랜드 가치 하락(19.6%), 역차별 피해(17.4%) 등이 있었다.
중국 이커머스 확대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는 '특별한 대응 전략 없음'이 63.7%로 가장 많았고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확대'(10.3%), '차별화된 제품 개발'(9.0%), '가격 인하'(8.7%)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28.3%, '부정적' 26.0%, ‘변화 없음’ 45.7%로 나타났다.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가 34.7%로 가장 많았으며 '국내 이커머스 기업 지원'(32.3%),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 및 품질 검사 강화'(26.3%) 등이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 본부장은 "중국 이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위기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며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식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새로운 유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커머스 입점 및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