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커피 내달 21일부터 가격 올려
더벤티·컴포즈 등 저가커피도 줄인상
생두 시세·고환율에 릴레이 인상 전망

커피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커피 원두 값이 폭등하면서 저가 커피 브랜드들부터 스타벅스 등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들까지 잇따라 가격 인상을 발표해 소비자 부담을 키우는 추세다.
31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메가커피가 커피 가격 인상을 발표하고 이에 앞서 투썸플레이스, 더벤티, 컴포즈커피, 스타벅스, 할리스, 폴바셋 등이 올해 초부터 잇달아 가격을 인상했다.
메가커피를 운영하는 메가MGC커피는 내달 21일부터 아메리카노 등 일부 메뉴의 판매 가격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은 기존 가격 그대로 유지된다.
이번 메가MGC커피의 가격 조정은 브랜드 론칭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아메리카노 핫 가격을 1500원에서 1700원으로 200원 인상을 결정하는 등 전국 3500여 매장에 이 같은 사실을 홈페이지와 안내문을 통해 공지했다.
이 외에 할메가 시리즈인 할메가커피·할메가미숫커피는 각각 1900원, 2700원에서 2100원, 2900원으로 200원씩 조정됐다. 대용량 메뉴인 메가리카노와 왕할메가커피는 각각 3000원, 2900원에서 3300원, 3200원으로 300원씩 올랐다. 에스프레소 샷 추가도 1샷 당 600원으로 100원 올랐다.
하지만 고객들이 가장 즐겨 찾는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용량이 경쟁사(20oz) 대비 약 20% 많음(24oz)에도 불구하고 2000원으로 현재 가격을 동결해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했다.
회사 측은 “지난 한 해 동안 원두 가격을 좌우하는 국제 생두 시세가 2배 가까이 상승하고 환율 폭등까지 이어져 원가 압박이 심화됐다”라며 “대부분의 커피 브랜드가 메뉴 판매가격을 인상해 왔으나, 고객 편의를 위해 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원가 부담을 감내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가격 조정을 통해 본사는 상승한 원가의 일부분만 보전하는 데 그치지만 가맹점주 수익은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우선 원칙으로 삼았다”고 덧붙였다.
투썸플레이스도 이달 26일 커피 23종, 음료 22종 등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평균 인상률은 4.9%로 레귤러 사이즈 기준 커피 제품 23종의 가격은 각 200원씩 인상했다. 샷·시럽 등 고객 옵션은 각각 300원, 디카페인 변경 옵션은 200원 인상했다. 홀케이크는 평균 2000원, 조각 케이크는 평균 400원 올랐다.
메가커피와 함께 저가 커피 브랜드로 손꼽히는 더벤티와 컴포즈커피도 이달과 지난달 가격을 올렸다. 더벤티는 11년 만에 처음으로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인상하며 이달부터 아이스 아메리카노(벤티 크기) 가격을 200원 올렸다. 컴포즈커피는 지난 2월 13일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디카페인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각각 1800원, 2500원에서 2100원, 2800원으로 300원씩 올렸다.
스타벅스는 지난 1월 24일 아메리카노 톨사이즈 가격을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인상하는 등 음료 22종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 1월에는 할리스, 폴바셋이 가격을 인상했다. 네스프레소도 지난 1일 오리지널 커피 캡슐 가격을 최대 10.4% 인상했다.
이 같은 가격 인상은 커피 원가가 올해 들어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미국 뉴욕 ICE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아라비카 원두 가격은 지난 2월 13일 t당 9675.99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달 들어서도 8000~900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로부스타도 지난달 12일 런던국제금융선물거래소에서 t당 5817.0달러로 최고가를 경신한 이후 500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커피 업계 관계자는 “향후에도 생두 시세나 환율이 쉽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커피값 변동이 커 가격 인상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