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산불보다 더 광범위한 피해 줬다
"수급량 감소 가능성 높아 가격 미지수"

연쇄적으로 일어난 산불이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산불 진압이 막 완료 단계에 접어들어 정확한 피해 규모 조사는 이제 시작인 상황이다. 터전을 잃은 시민들의 생계 우려도 커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8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역대 최대·최악의 산불이 발생함에 따라 농산물 수급 및 이재민들의 어려움도 클 것으로 예측된다.
영남 지역을 휩쓴 이번 산불은 지난 1월 400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피해를 낸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보다 더 광범위한 피해를 준 것으로 추산된다. 피해가 예상되는 산불영향 구역은 이날 새벽 5시 기준 4만8150.61㏊로 역대 산불 피해 중 가장 큰 규모로 파악됐다. 산불 확산에 따라 집을 떠났다가 귀가하지 못한 이재민은 2407세대·8078명이다. 시설물 피해도 계속 늘어나 주택과 농업시설 등 3481곳이 산불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2019년 4월 고성 산불의 경우 주택 480여 채가 불탔고 산림 936㏊가 잿더미가 됐다. 주민 1명이 숨지고 이재민은 500세대 1190명이나 발생했었다. 이후 이재민 지원 관련해서 잡음이 발생했었는데 이번 산불은 피해 규모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 피해 복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산불이 크게 번진 경북 북부권은 의성 마늘, 청송 사과, 영양 고추, 영덕 송이버섯 등 농산물 주산지로 꼽혀 식량 수급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노해석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의성군연합회 회장은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농산물 가격이 오르는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피해가 크기 때문에 수량은 많이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기준으로 의성군에서만 주택 전소 245채, 반소 23채 등 301채가 피해를 봤고 농작물 120㏊(36만3000평), 시설 18곳, 농기계 100대가 재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 정확한 피해 규모는 제대로 산출되지 않았기에 본격적으로 추산할 경우 해당 수치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이를 인지해 대형 산불로 피해가 큰 경북 지역의 농축산업과 농산물 수급 상황을 점검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동향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산불 피해 농가와 관련해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긴밀히 협력해 주민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라면서 "산불 발생 인근 지역의 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며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도 면밀히 점검해 적기 대응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이날 새벽 6시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영남권 등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로 지금까지 28명이 숨지고 37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보다 부상자가 5명 늘어난 수치다.
충북 옥천, 경남 김해, 울산 울주 언양·온양, 전북 무주, 경북 영덕 산불은 완전히 진압됐고 경북 의성·안동·영양·청송 산불도 임상성 산림청장이 이날 오후 5시부로 모두 진화됐다고 밝혔다. 경남 산청·하동의 산불도 진화율이 올라가며 주불 진압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deia.co.kr
관련기사
- 여야 '산불 추경' 논의 급물살···삭감된 재난 예비비 공방전
- 역대 최악 산불에 녹아내리는 ‘태양광·ESS’···전력설비 안전성 도마 위
- 4·2 재보궐, 민심 확인 가늠자···여야 지원 미비에 후보 각자도생
- 넷마블·코웨이, 영남 지역 산불 피해 구호 성금 5억원 기부
- 은행연합회, 산불 피해 지역에 성금 2억원 기탁
- '배당 6000원, 주가 -8000원' 배당락 DB손보, 대형 산불 겹악재
- 고령자만 남은 산불진화대···지방은 선택지가 없다
- 미래에셋그룹 "산불 피해 복구에 5억원 기부"
- 산불 피해 확산에···성금·구호물품 지원 나선 유통업계
- "몸 다치고 농작물 불타"···최악의 산불 피해, 보상 절차는
- "올해 벚꽃구경 즐기긴 글렀네"···산불·탄핵 여파에 심리 위축
- 삶 송두리째 탔는데 보상 청구 '농작물' 치중···보험 '업그레이드'할 때
- 폭염·히트플레이션 매년 반복되는데···여전히 식량 관리 못하는 한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