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금 황금알” vs “사업비 증액 여지 간과”

재건축이 추진되는 목동 7단지 전경 /목동 7단지 재준위
재건축이 추진되는 목동 7단지 전경 /목동 7단지 재준위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재건축 과정에 환급금은 커녕 분담금 부담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목동 5·7단지의 이례적인 환급금 전망을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6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까지 진행됐던 목동5·7단지 재건축 정비계획 공람공고에서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던 점은 월등한 사업성이다.  

이곳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 측은 조합원이 동일한 평수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수억원대를 환급받을 수 있다고 소개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목동5단지의 경우 전용면적 65.08㎡에 거주하는 조합원이 재건축 후 59㎡를 공급 받으면 4억6830만원을 환급받는다. 84㎡로 이동하더라도 1억1500만원을 돌려받게 된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1~83㎡ 소유자가 비슷한 면적의 84㎡로 옮기게 되면 2억4600만원을 환급받고, 99㎡로 이동하더라도 1989만원을 돌려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동7단지는 더욱 이목이 쏠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53.88㎡에서 전용 59.99㎡로 이동할 경우 추정 환급금이 1억147만원이다. 89.05㎡에서 비슷한 면적의 84.99㎡를 선택할 경우 추정 환급금은 2억7562만원이다. 가장 큰 전용면적 101.20㎡를 보유한 조합원이 가장 작은 전용면적 59.99㎡를 받으면 무려 11억2198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 비슷한 수준인 102.99㎡로 이동하게 되면 2억9998만원을 환급받는다.

최근 공사비 급등, 용적률 제한 등으로 재건축 과정에서 환급금은 커녕 분담금 부담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목동 5·7단지의 환급금 수준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업계 한편에서는 사업 소요 기간이나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하면 재준위가 밝힌 사업성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인근 공인중개사 전모 씨는 여성경제신문에 “재건축 사업이 향후 10년 이상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례율이 하락할 수 밖에 없는 점이 재준위의 설명 내용에서 간과됐다”며 “특히 건축비, 금융비, 각종 용역비 등 사업비는 언제든지 오를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목동 5단지 조합원 성모 씨는 “최근 공개된 환급금은 어디까지나 추정치라서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라며 “사업 속도를 높이는 게 관건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실제로 서울 강남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도 사업 초기에는 환급금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사업 기간이 늘어나면서 수억원대의 분담금이 발생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송파구 신천동 잠실진주아파트 재건축 사업인 ‘잠실래미안아이파크’의 경우 조합원들은 환급금을 기대했지만 억대에 달하는 분담금을 내야 한다. 2018년 시공계약금(7458억원)에서 무려 6359억원 늘어난 1조3818억원으로 공사비 증액이 이뤄져서다.  

신반포4지구 재건축 사업 ‘메이플자이’는 2018년 GS건설 시공계약 당시 공사비가 9353억원이었지만 이후 2023년 1월과 지난해 4월 두 차례 증액으로 공사비가 1조 1707억원까지 불어났다. 

신반포4지구 인근 한 공인중개사는 “GS건설이 최근 5000억원 가까이 되는 추가 공사비까지 요구하면서 조합과 시공사 갈등이 역력한 상태”라며 “기존엔 전용 84㎡ 조합원이 동일 평형 이동시 9668만원을 돌려받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공사비 증액으로 억대 추가 분담금을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