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도식에 日 관계자만 참석 후 진행
日 정무관,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
한국 유족, 주일 대사와 개별 추도식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노역에 강제 동원됐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열린 추도식에 한국 측 관계자가 불참했다. 일본 측 대표인 이쿠이나 정무관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풀이된다.
24일(현지 시각)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오후 1시 사도섬 서쪽에 위치한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일본 중앙정부 대표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을 비롯해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 와타나베 류고 사도시 시장 등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당초 이 행사에는 한국 유족 등 한일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개최 전 일본 측 대표인 이쿠이나 정무관이 2022년 8월 15일 일본 패전일에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력이 드러나며 논란이 됐다.
한국 측은 이쿠이나 정무관이 추도식에 일본 측 대표로 참석하는 것이 한국 유족을 모욕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야스쿠니 신사는 일제 침략을 미화하는 대표적 장소로 손꼽히는데 조선인 강제노역 노동자를 기린다는 취지에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다.
이미 일본에 도착한 한국 유족 9명은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와 함께 사도섬에서 별도로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사도광산 노동자 관련 시설도 시찰한다.
사도광산은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다. 역사 연구자인 다케우치 야스토는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조선인이 1500명 이상일 것으로 추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