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론뱅크’ 대위변제액 2400억대
시중은행 공급 줄이고 인뱅은 늘려
금융지원 절실한 계층 어려움 가중

서민층이 정부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의 채무를 변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제1금융권에선 공급마저 줄어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정책서민금융 상품들의 대위변제 금액은 1조551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위변제액이란 원금을 갚지 못한 차주를 대신해 정책기관이 은행에 대신 상환하는 금액이다.
이중 최저신용자를 지원하는 서민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15'의 올해 대위변제액이 359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저소득·저신용자가 1금융권으로 넘어갈 수 있게 지원하는 ‘햇살론뱅크’의 대위변제액도 2453억 규모였다.
‘햇살론뱅크’는 정책 금융상품을 6개월 이상 성실 상환하고 신용이 개선된 대출자가 최대 2500만원을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저신용자 가운데 상대적으로 상환 능력이 양호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데도 대위변제율은 지난 2022년 1.1%에서 2023년 8.4%, 올해 14.6%까지 증가세다.
그런데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공급마저 줄이면서 금융 지원이 절실한 서민들이 설 곳이 없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실이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5대 은행의 햇살론뱅크 공급액 및 비중은 지난 2022년 200억원·1.6%, 올해 123억원·0.9%으로 크게 줄었다.
시중은행이 햇살론뱅크 공급에 소극적인 이유는 심사 과정이 까다롭고 평균금리도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연체율 관리 또한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 기준 햇살론뱅크 평균 금리는 최저 5.67%, 최고 9.72%고 신용평점은 최저 762, 최고 806 수준이다.
반면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의 햇살론뱅크 취급 비중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인터넷은행은 설립 취지가 ‘중·저신용자 포용 금융’인데다 고객 유치도 필요한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인터넷은행 한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신용평가모델의 관리 능력에 대한 여성경제신문의 질문에 “신용평가모델 현재 버전으로 연체율을 최대한 방어하려고 하고 모형 고도화도 계속 진행 중이며 인뱅 3사(토스·케이뱅크·카카오)가 다 공통적인 사항”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쟁 시작 '제4인뱅', 돈 있어도 어려운 '건전성 관리'
- 국민통합위가 제안한 제4인뱅 가이드라인은 '소상공인 지원 강화'
- '국정감사' 때문에 못 간다···말 바꾸는 '돈봉투 수수 의혹' 민주당 의원들
- 수신금리 '손질' 나선 은행권···농협·우리銀 예적금 금리 낮춰
- "설 곳 없는 지방은행 금고" 시중은행 위협에 텃밭 사수할 방법은
- "어느 장단에 맞출까" 디딤돌대출 규제 번복에 혼돈 속 서민·은행
- 창업 1년 이내 MZ사장님, 내일부터 연 3%대 '햇살론 유스' 가능
- '고객 수 1205만 돌파' 케이뱅크 3분기 순이익 전년比 180.6%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