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 위반, 국힘 공세 나선 민주
인 최고 "잡혀 있던 수술에 전화한 것"

더불어민주당이 6일 특정 환자의 수술을 부탁한 정황이 담긴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인요한 국민의힘 최고위원에 대해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소를 검토하기로 했다.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싼 의정 갈등으로 '응급실 뺑뺑이' 등 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논란이 생기자 야당이 공세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윤리위 제소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나왔다"며 "(제소)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인 최고위원은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 중 휴대폰 메세지를 봤었다. 포착된 화면에 따르면 인 최고위원은 성명불상의 인사에게 "부탁한 환자 지금 수술 중. 조금 늦었으면 죽을 뻔. 너무 위험해서 수술해도 잘 살 수 있을지 걱정이야"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은 뒤 "감사감사"라고 답장했다.
병원에서 접수 순서를 변경하는 행위는 청탁받는 기관이나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청탁금지법이 금지하는 부정 청탁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두고 야권에선 일반 응급 환자들의 '응급실 뺑뺑이' 사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인 최고위원이 '국회의원 찬스'를 쓴 것이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청탁금지법' 위반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국민들께서는 응급실 뺑뺑이로 희생을 당하는 이 와중에도 집권당은 뒤에서 응급실 특권을 누리고 있다"며 "앞뒤가 다른 정부·여당의 태도에 국민들의 분노는 더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병주 최고위원도 "언제부터 대한민국이 뒷배 없으면 수술도 못하는 나라가 되었나. 언제부터 대한민국이 뒷배 없으면 죽는 나라가 되었나"며 "청탁금지법 위반은 아닌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국민들은 응급실 수술실 기다리다 죽어 나가고 가족들은 발을 동동 구르면서 피눈물을 흘리는데 '부탁한 환자'라니요"라며 "국민들이 이것을 보면서 '너네가 인간이냐' 이런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황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정부·여당은 전화 한 통이면 프리패스라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의료 농단을 이어가겠다는 것이냐"며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에 의료대란 해결을 촉구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인 최고위원의 문자 사진을 올리고 "여당 최고위원은 다 방법이 있었군요. '버티면 우리가 이긴다'는 정부와 여당은 이런 식으로 버틸 수 있나 봅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우리 국민들은 어떡합니까. 이게 나라입니까"라고 적었다.
인 최고위원은 해당 논란에 기자들과 만나 "집도의가 이미 정해졌고 그 집도의와 내가 아는 사이니까 수술을 잘 부탁한다고 한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수술을 부탁한 환자가 지인인가'라는 질문에 "지인은 아니고 이름도 모르는 목사님이 제 전화번호를 알고 '그 의사 믿을 만한가'라고 해서 '굉장히 좋은 의사'라고 했다"고 말했다.
인 최고위원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겸 국제진료센터 소장 출신 의사다. 지난 6월부터 국민의힘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의대 증원 문제와 관련해 의료계 의견 청취를 해왔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정갈등 해법으로 제시한 2026년도 의대 증원 유예안도 인 최고위원이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 韓·李, 민생 협의기구·저출생 대책 합의···채상병·금투세는 이견
- 전공의도 없는데 간호사까지···정부 "필수의료 차질 없게 할 것"
- [깐팩] KTAS 3등급인데 '구급차' 탄 김종인 '응급실 뺑뺑이' 원인
- [긴급진단] "현재 코로나는 2월 상륙한 KP3 변이, 과거 백신 효과 없다"
- 서울백병원 폐쇄 권고 안 했다는 교육부···의료대란 국감 쟁점 부상
- 외교·국방장관 대정부질문 불출석···"이미 알았잖냐" vs "행정 착오"
- 다시 만나는 尹-한, 윤석열 대통령 24일 용산서 국힘지도부와 회동
- 부산 30대女 사망했는데···정부 "추석 응급의료 큰 불상사 없어"
- 민주당 "尹-한 회동 빈손 만찬 안 돼"···의료대란 해결책 촉구
- '유명무실' PA 제도···간호사 64% "과로 시달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