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
지방선 충청권 전입 초과

저출생으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한 가운데 지난해 서울 강남구의 초등학생 순유입 규모는 전국 시군구 중 1위를 기록했다.
종로학원은 23일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학교알리미'에 최근 공시된 전국 6299개 초등학교의 지난해 기준 학생 현황을 분석하고 공개했다.
서울 강남구는 전년에 비해 2199명이 늘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전년도(1026명) 대비 2배가량 늘어난 것은 이례적인 수준이다. 서울 내 2위(양천구)와 견줘도 3.2배 많다.
지난 2013~2022년 10년 사이 강남구에서 초등학생 순유입 규모가 2000명을 넘긴 적이 없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924명→1650명→1130명→717명→804명→941명→1518명→1457명→1236명→1026명→2199명 순이었다.
서울 강남구에 이어 △인천 서구(1929명) △경기 양주시(1214명) △경기 화성시(775명) △대구 수성구(757명) △인천 연수구(748명) △충남 아산시(695명) △서울 양천구(685명) △경기 과천시(456명) △서울 서초구(42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충남 아산시와 사교육열로 유명한 대구 수성구를 제외하면 상위 10위 중 8곳이 수도권이다.
6개 지방권역 중에서 초등학생 순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권이었다. 유일하게 전입한 초등학생이 전출한 초등학생보다 237명 많았다. 의대 지역인재전형 선발을 염두에 둔 '조기 지방 유학'이 부상하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부산·울산·경남은 전출한 학생이 978명 많았다. △제주(-399명) △강원(-372명) △호남권(-281명) △대구·경북(-160명)도 빠져나간 학생이 더 많았다.
저출생 기조에 전국적인 학생 수 부족으로 대도시의 공립 학교도 문을 닫는 마당에 특정 지역의 인구 집중은 더 심화하는 양상이다.
서울 강남구(1위)와 양천구(8위), 대구 수성구(5위)의 경우 전통적 '사교육 특구'로 꼽히는 지역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초등학생 순유입은 여러 요인이 작용할 수 있지만, 교육 인프라에 대한 기대심리도 높게 작용한다"며 "초등학생이 순유입된 지역에 사교육 등 교육 인프라가 더욱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