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품목들 2개월 연속 수출 동반 증가
자동차 수출액 역대 최대액 경신
대미 수출, 3달 연속 대중 수출 앞서

4월 우리나라 수출이 자동차와 정보기술(IT) 분야 품목의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하면서 7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특히 자동차 수출은 67억9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액을 경신했고 대미 수출액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4월 수출액은 562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8% 증가했다. 월 수출 증가율은 작년 10월 플러스 전환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이 같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핵심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4월 반도체 수출액은 99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56.1% 증가했다. 이는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 등 IT 전방 산업의 수요 확대 흐름 속에서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 단가가 상승하고 수출 물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4대 IT 품목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는 지난 3월에 24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 품목 수출이 동반 증가한 데 이어 2개월 연속으로 같은 흐름을 이어갔다.
디스플레이(16.3%)와 컴퓨터(76.2%)는 각각 9개월, 4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증가했고, 무선통신기기(11.4%) 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 2∼3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자동차 수출은 4월 67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해 역대 최대액을 경신했다.
앞서 전기차 판매 증가세 둔화 영향을 받았지만 고가의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 확대로 수출 단가가 상승했다. 수출 물량도 작년보다 증가하면서 작년 11월(65억3000만달러) 세웠던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5개월 만에 다시 썼다.
바이오헬스(21.3%) 수출도 올해 처음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석유제품(19.0%), 석유화학(12.3%), 가전(9.4%), 선박(5.6%), 자동차 부품(2.9%), 섬유(1.7%), 일반기계(1.5%) 등 한국의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13개의 수출이 증가했다.
다만, 이차전지(-20.1%)와 철강(-5.7%) 등 2개 품목은 수출이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양대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특히 대미 수출은 작년보다 24.3% 증가한 114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대중 수출은 작년보다 9.9% 증가한 105억달러로 2개월 연속 100억달러를 넘기며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지만, 월간 기준으로 작년 12월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앞지르는 현상이 20여년 만에 나타난 바 있다. 또한 지난 2월부터 3개월 연속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4월 수입액은 547억3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4% 늘었다. 수입 증가는 작년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 정유사 가동률 상승과 발전용·산업용 가스 도입 수요 증가에 따라 원유(17.8%), 가스(21.9%) 등 에너지 수입액이 늘어난 것이 전체 수입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무역수지는 15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로 11개월 연속으로 흑자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1∼4월 누적 무역수지는 106억달러로 작년 전체 적자 규모(103억달러)를 뛰어넘으며 5년 만에 최대 흑자를 달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