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3월 69.3억·1분기 168.4억
반도체 수출 늘고 원자재 수입 줄어들어
상품 12개월 흑자···서비스 적자 늘어나
‘적자 전환’ 운송수지 “해상운송 지급 탓"

수출이 호조세를 띠면서 3월 경상수지가 69억3000만 달러로 집계돼 11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1분기 경상수지는 168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1분기보다 228억 달러 개선됐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경상수지는 69억3000만 달러(약 9조4664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2월(68억6000만 달러)과 비교할 때 7000만 달러 늘어난 수치다.
작년 5월 이후 한국의 경상수지는 11달째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1분기(1~3월) 경상수지는 168억40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59억6000만 달러)와 비교할 때 228억 달러 개선됐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가 80억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4월 이후 12개월 연속으로 흑자를 달성했고 수출은 582억7000만 달러로 작년 3월보다 3.0% 많았다. 수출은 지난해 10월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이후 6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34.5% 늘어나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2.7%), 미국(11.6%)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였다.
반면 화학공업제품과 철강제품, 승용차는 각각 11.4%, 9.4%, 5.7%씩 줄어들었다.
수입은 501억8000만 달러로 집계되며 13.1% 줄었다. 에너지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원자재 수입이 18.4% 감소했다.
원자재 중 석탄, 가스, 화학공업제품, 원유는 각각 40.5%, 37.6%, 21.7%, 12.8% 감소했다.
자본재 수입 역시 반도체제조장비(-23.6%)를 중심으로 3.5% 적어졌고 승용차(-21.8%)와 곡물(-13.1%) 등 소비재 수입도 9.5% 줄어들었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상품수지와 달리 23억3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규모도 1년 전(-19억7000만 달러)이나 2월(-17억7000만 달러)보다 커졌다.
서비스수지 적자를 이끈 것은 10억7000만 달러의 여행수지 적자였다. 다만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내국인 해외여행객이 줄어들어 적자 폭은 2월(-13억6000만 달러)보다 감소했다.
운송수지는 한 달 사이에 적자로 돌아섰다. 2월 1억8000만 달러 흑자를 냈던 운송수지는 3월 1억2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한은은 이에 관해 해상운송 지급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본원소득수지는 국내기업의 해외 자회사 배당 수입 등에 따른 배당소득수지 흑자(17억8000만 달러)에 힘입어 18억 3000만 달러 흑자를 봤다.
지적재산권수지는 -8억 달러로 특허·상표권 사용료 수입이 감소해 2월(-4000만 달러)보다 적자가 늘어났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융계정 순자산은 3월 한 달간 110억6000만 달러 늘어났다.
직접투자 부문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각각 28억3000만 달러, 16억1000만 달러 증가했다. 외국인의 국내 투자 증가세는 국내 바이오 기업 인수 등에서 기인했다.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88억8000만 달러 늘었다. 반면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 위주로 8억4000만 달러 줄어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