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7년 만에 40만명에서 23만명으로 급감
2023 합계출산율 0.72명으로 하락, 역대 최저 수준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이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이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기록적인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또다시 역대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늘어난 점을 향후 출산율 개선 요인으로 꼽고 있지만, 최근 심화하는 출산 기피 현상을 고려하면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 동향'을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도의 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 줄었다. 지난해에 이어 또 역대 최저 기록이다.

2016년 40만명을 웃돌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 40만명을 하회한 데 이어 2020년과 2022년 각각 30만명, 25만명 선이 무너졌다.

저출산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출생을 나타내는 지표들 모두 감소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전년보다 0.4명 감소한 4.5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보다 0.06명 줄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의 1.24명을 정점으로 8년째 하락세다. 2021·2022년 각각 0.03명이었던 하락 폭도 지난해 두 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하락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실제로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감소하며 0.70명선마저 붕괴했다.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이다.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45세 미만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5세 이상 출산율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출산율 감소세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30∼34세 출산율은 전년보다 6.8명 줄어 66.7명을 기록했다. 25∼29세 출산율은 21.4명으로 2.6명 줄었다. 증가세를 보이던 40∼44세 출산율은 0.1명 줄면서 7.9명을 기록, 다시 7명대로 내려앉았다.

산모 출산 연령도 상승하는 추세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6세로 전년보다 0.1세 올랐다.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전년보다 0.6%포인트(p) 상승한 36.3%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 늘어 출산율 반등 여지?···출산 기피 경향이 변수

임영일 과장은 "혼인을 한 뒤 출산을 안 하는 경향이 늘고 있어서 혼인 건수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은 과거보다 낮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임영일 과장은 "혼인을 한 뒤 출산을 안 하는 경향이 늘고 있어서 혼인 건수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은 과거보다 낮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정부는 올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이 추계한 올해 합계 출산율은 0.68명이다. 임영일 과장은 "올해 출생아 수는 작년 23만명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합계출산율도 작년 추계치에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증가한 점을 향후 출산율이 개선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딩크족 증가 등 출산 기피 현상으로 이마저도 무조건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의견도 있다.

임영일 과장은 "혼인 건수 증가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어서 합계출산율이 반등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라면서도 "혼인을 한 뒤 출산을 안 하는 경향이 늘고 있어서 혼인 건수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은 과거보다 낮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