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등 전체 물가 대비 2배 상승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생활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농산물 물가가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은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한다.
26일 여성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들어 물가상승률이 3%대 초반으로 완만한 둔화세를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생활물가 상승률)은 4%에 가까웠다. 코로나로 인해 계속 상승하던 물가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멈출 기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22년 12월에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무려 5%까지 오르는 등 외환 위기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물가를 측정하는 요소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활물가가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상품·서비스 458개 품목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한다. 이에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실제 장바구니 물가에 근접한다.
지난 11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생활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낮게 나오지만, 한국은 체감물가 수준이 더 높다"고 말했다. 한국의 생활물가 상승률이 높은 이유는 농산물·에너지 상승률이 높기 때문이다. 농산물 가격의 경우 지난해 사과값이 전년 대비 24.2% 오른 데 이어 귤이 19.1%, 파가 18.1%, 딸기는 11.1%로 큰 폭으로 올랐다.
고물가로 인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정부는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조동근 명지대학교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농산물의 경우 어떤 나라도 대책이 없다"며 "농산물 가격이 안정적으로 가는 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다가올 설에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할인 지원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성수품 물가 부담을 덜기 위해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며 "전통시장은 최대 30%, 대형마트는 최대 20%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설이 가장 과일을 많이 찾는 성수기인데 이때가 지나면 수요가 줄어들어 안정될 것이다"라며 과일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성수품 할인의 경우 가격 안정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설 연휴 후 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가격이 다시 올라갈 것 같다"고 봤다.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다른 식품 물가도 크게 오른 상황이다. 3년 전과 비교할 경우 식용유 63.4%, 소금 57.3%, 국수 54.2% 수박 45.5%, 오이는 41.4% 올랐다. 또한 지난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중 대표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6.8%로 전체인 3.6%의 1.9배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