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저작권보호원 발간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영화·게임·방송·웹툰 순

한국저작권보호원(원장 박정렬, 이하 보호원)은 26일 ‘202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전국 만 13세에서 69세 일반 국민 2만 4000명을 대상으로 불법복제물 이용량, 이용률, 저작권 보호에 관한 인식 등의 내용이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작성됐다.
특히 202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의 경우, 대학교재 불법 전자스캔본 관련 출판 장르 유효응답자 약 2000명 중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별도 추가 조사가 진행되었다.
■ 저작권 보호 인식도 소폭 증가
조사 결과, 국내 불법복제물 이용률은 2021년 19.8%, 2022년 19.5%에서 2023년 19.2%로, 2019년(22.0%)부터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불법복제물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무료이거나 매우 저렴해서’(32.4%)로 나타났다.

저작권 보호에 관한 종합 인식 수준은 2021년 3.14점, 2022년 3.18점에서 3.20점(4점 만점)으로 매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20대의 저작권 보호 인식이 높게 나타나면서 저작권 보호 인식 개선 교육 및 홍보가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분야별 불법복제물 이용률은 영화 분야(24.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게임(23.9%), 방송(21.5%), 웹툰(20.4%), 음악(18.4%), 출판(14.4%) 분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불법복제물 이용경로 접속차단 효과로, 콘텐츠 불법복제물 이용자의 약 48.5%가 무료 사이트 이용 자체를 포기하거나 51.3%가 다른 경로 또는 우회 방법을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교재 불법 전자 스캔본 파일 관련 대학(원)생 대상 추가 조사 시행
조사 결과, 61.9%가 전자스캔본 교재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전자스캔본 교재 이용 과목 수 평균은 약 3개로 나타났다. 전자스캔본 확보 경로(복수응답)로 “이메일, USB 등으로 주변 지인으로부터 공유받음”은 44.6%, 커뮤니티(주요 포털 카페, 블로그, 대학가 자료 공유 사이트 등)는 12.5%, SNS(텔레그램, 디스코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엑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등)는 5.4%로 62.5%가 대학(원)생들 간에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원은 미래를 선도하는 K-저작권 보호 전문기관으로, 국민들에게 저작권 보호 중요성 공감대를 형성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본 보고서는 종합본 1종과 통계본 1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저작권보호원 누리집(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 K-콘텐츠 저작권 침해, 자동 추적 기술로 잡는다
- AI 시대, K콘텐트 불법유통 심화···"명확한 저작권 법률 규정 필요"
- 1인 창작자 SOS! ‘저작물 저작권 침해, 어떡하죠?’
- “미국판 누누티비 폐쇄됐다”···해외 저작권 바우처로 해결
- 디지털 대전환 시대, 저작권 보호 전략의 미래를 논하다
- 기업 참여로 이루어지는 “저작권 보호 바로 지금” 캠페인
- K-콘텐츠 저작권 보호, 민·관 함께 대응한다
- 해외 불법 유통 사이트, 'K-저작권 모니터즈'가 잡는다
- 저작권 보호 서포터즈 모집···활동 우수 대학생들에 '1500만원' 지급
- [저작권 지킴이] 대학 교재 불법 복제 막을 길 없을까?···전자책 기업 세샤트의 해법
- [저작권 지킴이] “대학교재의 불법 스캔‧판매‧공유 이제 그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