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의 외주화 더는 안 돼"
"제평위 시즌2라는 지적"

국민의힘 윤두현 미디어정책조정특위 위원장이 '대장동 허위 인터뷰 의혹'과 관련해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와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 등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두현 미디어정책조정특위 위원장이 '대장동 허위 인터뷰 의혹'과 관련해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와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 등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했다. /연합뉴스

네이버가 오는 1월 중 외부 전문가 5~7인을 중심으로 구성해 출범하겠다고 한 '뉴스서비스 혁신준비 포럼(뉴스혁신포럼)'에 대해 국민의힘은 "크게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미디어커뮤니케이션특별위원회(위원장 윤두현 의원)는 25일 성명서를 내고 "불공정 시비, 책임회피용 논란으로 중단된 포털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의 시즌2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며 "외부위원회를 앞세워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속내가 있다"고 규탄했다.

특위는 "10년째 계속되는 '책임의 외주화'는 더 이상 안 된다"며 "가짜뉴스의 온상이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의지는 안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총선 지나면 '어떻게 되겠지'라는 마음만 엿보일 뿐"이라며 "제평위는 지난 5월 느닷없이 운영 중단한 이후 지금까지 아무런 개선책을 내놓지 않고 버티기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급기야 방송통신위원회가 네이버 뉴스 검색 순위 알고리즘 조작 의혹 조사에 착수했음에도 네이버는 뉴스 서비스 시장의 압도적 장악력을 앞세워 공공성과 균형성 확보라는 사회적 책무를 외면해 왔다"고 지적했다.

특위는 지난 대선 직전 '김만배-신학림 인터뷰'를 보도한 뉴스타파를 거론하면서 "2018년 12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포털 뉴스 콘텐츠제휴사(CP사) 지위를 홀로 획득했는데, 그 과정이 의혹투성이"라고 했다.

또한 "7개월 동안 무엇을 하다 이제야 혁신을 준비하겠다는 건가"라며 "더 심각한 문제는 결과물이 내년 상반기에 나온다는 점이다. 내년 선거 결과를 본 후, 쇄신안 내용과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네이버 뉴스시스템이 스스로 바로잡지 못한다면 법과 제도에 의할 수밖에 없다"며 "뉴스 서비스의 공정성 회복은 네이버의 '클릭 장사'에 밀릴 수 없는 민주주의 근본 가치의 문제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네이버는 더 이상 외부 위원회 뒤에 숨지 말고, 네이버 스스로가 뉴스 서비스의 공정성과 균형성 확보를 책임질 수 있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혁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