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의연, 치료의사결정 인식도 조사 시행
노인 암 환자 75% "치료 목표는 삶의 질"
의사는 환자 스스로의 의사결정 중시

국내 병원 내 한 노인 환자 /연합뉴스
국내 병원 내 한 노인 환자 /연합뉴스

노인 암 환자 대부분은 생존 '기간'보다 살아있는 동안의 '삶의 질'에 치료 목표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은 '노인 암 환자 치료 의사결정 관련 인식도 조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국내 거주 65세 이상 노인 암 환자 200명에게 항암 치료법 선택 시 치료 목표를 물었을 때, 75%가 '삶의 질'을 꼽아 '생존 기간'(25%)보다 3배나 높게 조사됐다.

항암치료법 선택 시 고려 요인으로는 '의사 권유'(64.8%)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본인 결정(20.1%) △가족 결정(13.4%) △지인의 권고(1.7%)가 뒤를 이었다.

치료 의사를 결정할 때 갈등하는 요인으로는 '어떤 선택이 최선인지 확신하지 못한다'와 '더 많은 조언과 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382명을 대상으로 노인 암 치료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의사들은 치료 의사결정 시 '환자의 결정'을 제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암 치료 의사결정에서 전문의가 중시하는 우선순위는 △환자의 결정(24.9%) △암 병기(26.4%) △환자의 기능 상태(21.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더 나은 치료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개선점으로 '노인 암 환자 치료 관련 임상 진료 지침 개발'(38.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료 관련 정확한 정보 제공 또는 홍보'(25.4%)가 뒤를 이었다.

박동아 보의연 선임연구위원은 "치료 시 환자의 기능 상태, 노쇠 정도, 환자 자신의 선택이 적절히 고려돼야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며 "국내 노인 암 환자가 원활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