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 아냐"
"처리된 오염수 과학적으로 맞는 표현"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로 불리는 일본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방류수의 공식 명칭을 '후쿠시마 처리수'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30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 출석해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기준에 의해서 처리된 그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용어 변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이 "수협중앙회가 오염수 명칭을 처리수로 변경하기로 했고, 정부도 용어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변했다.
한 총리는 "마치 '오염수가 방류되고 있다. 핵폭탄과 같다'는 논리는 전혀 안 맞는 것"이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야기하는 ALPS(다핵종제거설비)를 거쳐서 처리된 오염수. 저는 이것이 과학적으로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오염수도 아니고 처리수라는 건 일본과 같아지겠다는 말씀으로 들린다'는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비판에는 "과학적이냐 아니냐 하는 건 결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위해를 주느냐 안 주느냐가 중요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 총리는 현 상황을 IMF(국제통화기금) 사태에 빗대 용어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1997년 외환위기로 IMF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 후로 수십년간 우리가 'IMF 사태'라고 부르고 있다. (외환위기는) IMF와 아무 상관 없고, 오히려 IMF의 지원을 받아 외환위기를 해결한 것"이라며 "지금도 IMF 사태라고 부르는 것은 (오염수 용어 사용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국민의힘도 '오염 처리수'를 공식 용어로 쓰기로 했다.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이날 "이제 오염 처리수로 공식화해야 한다"며 "오염 처리수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쓰는 공식 용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아직까진 오염수라는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오전 열린 오염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정부가 총체적인 용어를 전환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