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대비하는 금감원 대출 공급‧제도 홍보
전통시장 상인 금융사기 예방 ‘장금이 결연’
美 소기업 담당 직원 고용 英 규제 재검토
“글로벌 경기침체 시 소상공인 타격 우려”

한국 경제에 대한 ‘상저하저(상‧하반기 모두 둔화)’ 전망이 나왔다. 수출과 세수가 모두 감소하면서 경기를 떠받칠 기둥이 무너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 이후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가능성이 짙어지면서 특히 소상공인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금융당국은 자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안전장치를 단단히 매고 있다. 침체 전야(前夜) 한국은 은행과 연계한 금융 지원에 힘을 쏟고 있는 반면 미국, 영국 등은 규제 검토 등 시스템 개편에 주력하고 있다.
5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우리은행이 ‘장금(場金)이’ 1호로서 서울 광장시장 상인의 금융 환경 개선에 나선다. ‘장금’은 시장의 '장(場)'과 금융기관을 의미하는 '금(金)'을 합친 말이다.
은행 영업점이 특정 전통시장과 ‘장금이 결연’을 맺게 되면 핫라인을 통해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해 정책자금 대출 등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취약 차주 지원과 금융사기 피해 등 금융 애로 상담도 진행한다.
이 제도는 금융감독원(금감원)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전통시장 상인의 금융사기 피해 예방과 맞춤형 금융상담창구 마련을 위해 조성했다. 이날 금감원과 중기부는 우리은행과 광장시장의 상호 결연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했으며 향후 결연 대상을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 전통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금감원은 은행권에 ‘따뜻한 금융’에 대한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SVB 사태 이전에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고통 분담을 위해 은행권의 자발적인 동참을 촉구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지역사회-지방은행의 따뜻한 동행’ 간담회에 참석해 “부산은행의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방안은 지방은행과 지역사회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좋은 청사진을 제시한 것으로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부산은행은 가계대출 전 상품 금리인하, 저신용 차주의 기존 대출금리 감면에 나섰다.
SVB 사태 이후에는 더 적극적인 금융 지원과 제도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금감원은 새희망홀씨대출 상품을 6000억원씩 3년간 추가 공급하고 ‘종합정보센터’를 구축해 중소기업·자영업자 및 취약계층의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했다. 금융위원회도 은행 사태 이전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이상원 국제금융센터 글로벌은행부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현실화 시 소상공인들의 타격이 특히 클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주요국 은행과 정책당국의 소기업 고객 전략을 참고해 이들의 수요에 부응하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라며 “은행들의 중소기업 비즈니스 전략 수립 시 대기업과는 다른 중소기업만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관련 데이터의 철저한 분석 선행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해외 은행 디지털 금융 활용
소기업 담당 확충부터 규제 검토
국제금융센터의 ‘글로벌 은행들의 소기업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해외 은행들은 디지털 금융 등을 활용해 대(對) 소기업 전략을 구상 중이다. 소상공인들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특히 이들이 디지털 금융 분야를 수용하는 데에 있어 비교적 호의적인 점이 주목할 만하다.

미국 JP모건의 경우 소기업 담당 직원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 소기업 분야에 향후 2년간 500명 이상을 고용할 계획이다. 지역은행들을 중심으로 소기업 대상 마케팅을 확산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제적 안정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2025년 1월 1일 바젤 3.1의 발효를 앞두고 영국 금융당국은 중소기업 실정에 맞는 규제를 재검토 중이다. 이는 2007~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은행의 규제, 감독 및 위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개발했다.
또한 인도는 중앙은행 주도로 은행 및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개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은행권의 관심도 점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인도 GDP의 26%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 편의가 이전보다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