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계열사가 보유해온 자사주가 변수돼
8.03% 지분 가진 국민연금 반대 결정타

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서 열린 현대백화점면세점 무역센터점 그랜드 오픈 기념 행사에 참석한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서 열린 현대백화점면세점 무역센터점 그랜드 오픈 기념 행사에 참석한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연합뉴스

'자사주의 마법'을 활용해 정지선 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꾀하려 했던 현대백화점그룹의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 계획이 좌초됐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 지주사 전환 실패엔 지분 8.03%를 보유한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진 것이 결정타였다. 표결 참여 주주 중 찬성이 64.9%, 반대가 35.1%였다. 안건이 통과되려면 참석 주주 3분의 2(66.7%)가 찬성해야 하는데 약 1.8%포인트 모자랐다.

인적분할은 회사의 재산을 분할해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고 기존 회사의 주주에게 신설 회사의 신주를 기존 주주의 지분율에 따라 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가 각각 6.6%와 10.6% 보유한 자기주식(자사주)이 변수가 됐다.

미국은 자사주를 매입하면 바로 소각하지만, 적대적 인수합병(M&A) 방어장치가 없는 한국은 자사주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인적분할 과정에서 그 자회사의 주식을 배정하고 모 회사의 이사회가 의결권을 행사한다. 이러한 자사주를 매개로 인적분할 시 지배주주의 지배력이 강화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자사주의 마법이라 한다.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자사주를 인적분할 시 정지선 회장이 최대주주(17.1%)인 현대백화점 홀딩스, 동생 정교선 부회장이 최대주주(23.8%)인 현대지에프홀딩스의 지분율은 주식 교환 과정에서 자사주 지분율만큼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개혁연대 등 주주행동주의 단체는 이 같은 대주주 지배력 확대를 이유로 현대백화점의 지주사 전환을 반대했다. "인적분할도 자사주가 있다면, 대주주의 이익을 위해 쓰이는 구조"라고 비판해온 김우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국증권학회지에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은 채 보유 비중이 클수록 기업가치가 낮다"는 분석을 내놨다.

토빈의 Q(주식시장에서 평가된 기업의 시장가치를 기업의 자산가치로 나눈 비율)로 측정한 기업가치는 자사주 보유가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보다 약 24%포인트 낮았으며, 시장-장부가비율(보통주의 주당 장부가격에 대한 시장가격의 비율)은 약 43%포인트 낮았다.

현대백화점은 주주총회 이후 입장문을 내고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며 그간 추진해온 지주사 체제 전환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백기를 들었다. 그러면서 "향후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재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