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민주노총, 북한 인사와 접촉'
민주노총 '과한 대응, 뭔가 의도 있어"
태영호 "당당하면 수사 받아서 증명"

국가정보원이 민주노총에 대한 일명 '간첩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정원·경찰은 18일부터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과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 사무실을 포함, 전국 10여 곳의 민주노총 거점을 압수수색했다. 수색은 19일 오전에도 이어졌다.
이날 경찰 등에 따르면, 경찰은 국정원과 함께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정원은 최근 민주노총 간부가 이른바 '북한 연계 지하조직'에 가담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측은 '피의자들의 북한 연계 혐의에 대해 수년간 내사했고 그 과정에서 확보한 증거를 토대로 강제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는 입장이다. 국정원은 피의자들의 주거지나 사무실 등에 북한 측과 주고받은 메시지 등이 남아있을 것으로 보고, 컴퓨터와 휴대전화 등에 대한 포렌식 작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JTBC는 최근 '민주노총 전·현직 간부 3명이 캄보디아 프놈펜 소재의 한 호텔에서 북한 공작원과 접촉한 정황도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북한과 교류한 민주노총 간부는 북한 측 인사와 비밀리에 만나 공작금을 주고받았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국정원 압수수색이 이어지자 한상진 민주노총 대변인은 "(방첩 당국이) 과하게 대응하는 것은 뭔가 의도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을 한다"며 "(혐의의) 증거를 잡기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하는 것이다. 대상자들의 혐의를 입증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그 다음의 문제"라고 밝혔다. 국정원 등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사건으로 민주노총을 압수수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 북한 고위 공무원 출신인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2023년을 '윤석열 정권과 대결전의 해'라고 외친 양경수 위원장의 발언은 '남한은 우리의 명백한 적'이라고 한 김정은의 말과 비슷하다"면서 "국가 행정을 무시하며 불법파업을 벌이는 민주노총에 대한 압수수색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명한 김명수 대법원장이 이끄는 법원의 판단을 받아 집행한 영장이고, 민주노총은 당당하면 수사를 통해 결백을 증명하면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