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단위 묶음 2개 동시 작동하도록 설계
美 인텔, 日 르네사스와 글로벌 협업 효과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서버용 D램 'DDR5 MCR DIMM'의 동작 속도는 초당 8기가비트(Gb) 이상이다.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서버용 D램 'DDR5 MCR DIMM'의 동작 속도는 초당 8기가비트(Gb) 이상이다.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처리속도를 두 배 가까이 끌어올린 서버용 D램 개발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8일 반도체업계 등에 따르면 DDR는 서버와 PC에 주로 들어가는 D램 규격으로, 현재 5세대인 DDR5까지 개발됐다. 기존 서버용 DDR5의 속도는 초당 4.8Gb다.

SK하이닉스가 이번에 개발한 서버용 D램 'DDR5 MCR DIMM'의 동작 속도는 초당 8기가비트(Gb) 이상으로, 모듈을 통해 기존 제품보다 속도가 180% 이상 빨라졌다.

DDR5의 속도 향상 비결은 D램 모듈에서 중앙처리장치(CPU)로 내보내는 기본 데이터 전송 단위 묶음인 랭크(RANK) 2개가 동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그간 단품의 동작 속도에 좌우된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넘어서는 혁신을 이룬 것.

SK하이닉스 기술진은 "MCR DIMM에 탑재한 데이터 버퍼를 사용해 랭크 2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설계했다"며 "버퍼는 D램 모듈 위에 같이 탑재돼 D램과 CPU 사이의 신호 전달 성능을 최적화하는 부품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기술 혁신엔 미국 인텔, 일본 르네사스와의 글로벌 협업이 주효했다. SK하이닉스의 모듈 설계 역량에 인텔의 서버 CPU, 르네사스의 버퍼 기술력이 융합되면서 제품 개발이 가능했다.

류성수 SK하이닉스 D램상품기획 담당 부사장은 "MCR DIMM이 안정적으로 성능을 내려면 모듈 내외에서 함께 동작하는 데이터 버퍼와 서버 CPU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기술 한계 돌파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 서버용 D램 시장에서 1등 경쟁력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향후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MCR DIMM의 수요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고객 수요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