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상하이‧광저우‧충칭 등 방역완화
쑨춘란 “코로나 확산 막으며 경제 안정”
“사망자 증가하면 경제 위축 심화 우려”

‘제로 코로나’ 정책을 비판하던 백지를 든 시위대에 중국 당국이 백기를 들었다. 베이징을 포함한 대도시 중심으로 봉쇄 빗장이 풀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위드 코로나’ 시도가 확진자 급증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김기봉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중국 당국이 무리하게 봉쇄를 풀 경우 5% 내외로 기대됐던 내년 중국 성장률이 3%까지 하락할 수 있다”며 “누적 감염률이 1%도 안 되는 상황에서 지금보다 확진자도 훨씬 증가할 수 있다. 최대 100만명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중국은 의료인 수가 부족할 뿐 아니라 의료 인프라 등이 주요국에 비해 취약하다. 최근 확진자 수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중국 당국이 제어할 수 있는 상태다.
김 책임연구원은 “확진자 급증으로 사망자 수가 증가하면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며 “경제 위축이 심화할 수 있다. 개방해도 문제, 안 해도 문제”라고 말했다. 최대 무역국인 중국의 향후 상황에 따라 한국 경제도 따라 움직이게 된다.

강경 제로 코로나 정책 시행
중국인 소비 위축→韓 수출↓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가 이어지던 때도 중국의 경기 회복을 둔화하는 요인이 될 거라는 우려가 있었다. 봉쇄는 중국인의 소비 위축 심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4월 상하이 봉쇄 당시 중국인의 대면 소비가 줄면서 예금 증가율은 역대 최고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 입장에서는 수출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봤다.

한국의 대(對)중 수출 규모는 전체 수출에서 지난해 기준 25.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소비가 둔화하다 보면 중국에 대한 수출 규모도 자연히 감소하게 된다. 이는 무역수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11월 한국의 수출은 519억1400만 달러로 전년동기(603억3100만 달러)대비 14%나 급감했다. 전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대중 반도체 수출의 급감과 봉쇄령에 따른 중국 침체가 원인이다.
국내 전문가들은 중국 경기가 당시와 비슷하거나 더 심하게 위축되리라 전망했다. 그런데 ‘시진핑 퇴진’ 구호에 당국이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중국 제조업 허브인 광둥성 광저우는 하이주, 톈허, 바이윈 등 도심 9개 구에 대한 방역 봉쇄를 완화했다. 상하이시와 베이징 차오양구, 충칭, 허베이성 스자좡도 6개 도심 지역에 봉쇄 빗장을 풀었다. 쇼핑몰, 슈퍼마켓, 호텔 등 상업시설 운영을 재개하고 식당 내 식사도 허용했다.

백진규 국제금융센터 부전문위원은 본지에 “이전에는 아파트 단지를 2주까지도 봉쇄했지만, 시위를 많이 하다 보니 중국 당국에서 과잉 봉쇄 말라고 지시를 내렸다”며 “대도시 위주로 봉쇄령을 풀고 있지만 내년 3월 이후에야 봉쇄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백 부전문위원은 “단기적으로는 확진자가 늘어 침체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며 “이는 세계 경제 회복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블룸버그통신도 “향후 7개월간 점진적 완화를 거쳐 2023년 중반에는 전면 개방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며 “단 확진자 증가세가 재개되면 중국 정부가 강경하게 대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