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소상공인·카카오 등 각계 전문가 참여
다만 실질적 피해 보상까지는 시간 소요될 것

카카오가 지난달 발생한 서비스 장애 피해보상 관련 '1015 피해지원 협의체'를 구성했다.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서비스 장애 피해 보상 및 지원을 위해 외부 전문가와 민간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에 따르면 카카오는 이날 '1015 피해지원 협의체'를 구성해 피해 보상과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1015'는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10월 15일을 뜻한다.
협의체는 카카오를 비롯해 소비자, 소상공인 등을 대표하는 단체 및 학계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소상공인 대표로는 소상공인연합회가, 학계 대표로는 공정 거래·소비자 보호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산업계 대표로 코리아스타트업 포럼, 이용자 및 소비자 대표로 한국소비자연맹이 참여한다. 각 단체의 참석자는 첫 회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첫 회의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카카오는 앞서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6일까지 한 차례 기간을 연장하며 총 19일간 서비스 장애 피해 사례 신청을 받았다. 카카오는 내부적으로는 피해 구제 신청을 신중히 분석하는 동시에 외부 기관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해 합리적 보상 기준을 세우며 준비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다만 실질적인 피해보상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식 의원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 "실질적 피해 보상까지는 구체적인 논의와 피해 범위 조사 등으로 인해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국회에서도 국감을 통해 관련 인사를 감사한 만큼 추후 진행은 최대한 조속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