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앞 신고센터 설치해 손실액 직접 추산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로 재산상 손실을 입은 소상공인들이 실질적인 보상을 촉구하며 나섰다.
10시간이 넘는 장애 사태로 하루의 일을 망쳤는데도, 1만원 채 되지 않는 일률적인 보상안을 받아들면서 구체적인 피해 금액을 추산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은 각 업종별 소상공인 단체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카카오·네이버 피해신고센터를 설치해 접수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의원은 "카카오가 서비스 장애로 종일 콜을 받지 못한 택시기사들에게 카카오 모빌리티를 통해 뒤늦게 발표한 보상책이 고작 7550원이었다"며 "피해자들을 기만하고 우롱하는 보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 의원은 "누구보다 많은 혜택을 받으며 성장한 플랫폼 대기업들이 응당 가져야할 책임과 의무는 등한시했다"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대기업 플랫폼에 종속된 존재가 아닌 국민이 정당한 권리를 가진 사용자라는 것을 똑똑히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 참가한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는 "커피 한 잔 값으로 하루종일 콜을 받지 못한 택시기사들의 기대수익을 보상하려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이라며 "카카오의 실질보상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손무호 한국외식업중앙회 단장도 "수백건의 피해사례를 취합한 상황"이라며 "더욱 적극적으로 피해사례를 수집하고 카카오에게 명명백백히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