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윤 정부는 민간주도 경제도약 뒷받침"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29일 대야 관계와 관련, '협치'를 강조하면서 정기국회 기간 민생법안을 협의할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날 국회 교섭단체연설에 나선 정 위원장은 “저는 지금 우리의 모습이 부끄럽다. 국민께 송구하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번 정기국회가 민생 회복과 정치 복원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국회는 앞으로도 2년 가까이 극단적 여소야대 상황이 유지될 수밖에 없다"며 "정부와 여당이 아무리 일하고 싶어도 야당과의 협치 없이는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여야 중진협의체에 대해 "하루라도 빨리 구성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기를 바라고 있다"면서 "이 대표께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제안한 개헌과 선거법 개정, 국회 특권 내려놓기 등도 이 기구를 통해 충분히 심도 있는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속한 시일 내 국회 중진협의회가 구성되도록 이 대표께서 이것만큼은 마음을 열고 받아달라"며 전날 이 대표가 제안한 개헌과 선거법 개정 등도 이 기구를 통해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민의힘이 선정한 '정기국회 100대 입법 과제'를 언급, 여야 민생경제협의체를 통해 비쟁점 법안 처리를 논의하자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의 '7대 민생 법안'에 대해선 "포퓰리즘 법안들이 대부분"이라며 "'노란봉투법'은 노동시장 개혁에 역행하는 '불법 파업 조장법'이고, 민주당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 공급 과잉을 오히려 심화하는 '농업 고사 법안'이라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지난 정부의 무분별한 확장적 재정 운용이 재정 건전성을 위협하고 민간 활력을 떨어뜨렸다"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정부 주도 확장 재정에서 벗어나, 민간과 시장이 주도하는 경제 도약을 유효적절하게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재정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복지정책과 관련해선 “복지는 두텁게 만들겠다. 윤석열 정부 복지의 핵심은 ‘약자 복지’”라며 “‘현금복지’는 일을 할 능력이 없거나 아무리 일해도 충분한 소득을 얻을 수 없는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내실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윤 대통령 비속어 영상을 가장 먼저 보도한 MBC에 대해 "대통령 발언에 없는 '미국'을 괄호까지 넣어 추가하고 아무리 들어도 찾을 길 없는 '바이든'을 자막으로 넣은 경위를 명명백백히 밝히기를 바란다"며 "책임자를 엄중히 처벌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놔야 한다. 만약 스스로 잘못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정치적 사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