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거리 진료 위한 바우처 1인당 100만원
장거리·야간 이동 부담 해소에 '숨통' 트여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부터 가평군, 연천군,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안성시 6개 분만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을 준비해 4월부터 신청받았다. /연합뉴스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부터 가평군, 연천군,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안성시 6개 분만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을 준비해 4월부터 신청받았다. /연합뉴스

경기도가 올해 처음 시행한 '분만 취약지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이 접수 시작 6개월 만에 3000명 가까이 신청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에서 지원받은 사람이 지난 10월 말 기준 총 283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초 예상했던 2400명 수준을 훌쩍 넘긴 수치다. 도는 올해 1월 1일부터 가평군, 연천군,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안성시 6개 분만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을 준비해 4월부터 신청받기 시작했다.

이 사업은 분만 가능 의료 기관이 없는 지역의 임산부들이 장거리 이동 부담으로 인해 병원 방문을 미루거나 필수 진료를 제때 받지 못하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임신 기간 동안 필요한 산전·산후 진료와 출산 관련 의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목적이다. 실제로 출산을 앞둔 A 씨는 새벽 시간 양수 누출 의심으로 택시를 타고 병원으로 가 진료받은 바 있다. A 씨는 "갑작스러운 상황에 운전은 어려웠고 택시도 할증 요금 부담이 있었지만 진료 후 교통비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부담을 덜었다"라며 임산부 교통비 지원 정책에 만족감을 표했다.

B 씨 역시 "교통비 지원 덕분에 경제적 부담 없이 택시를 이용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필요한 진료를 제때 받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라고 말했다. 외곽 지역에 거주하는 B 씨는 반복적으로 병원을 방문해야 했으나 버스 배차 간격이 길어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었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비용 지원을 넘어 임산부가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적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지원체계로 기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분만 취약지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은 정부24(www.gov.kr)에서 온라인으로 하거나 관할 시군 보건소를 방문해 진행하면 된다. 신청 자격은 신청일 현재 분만 취약지에서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둔 임산부(등록외국인 포함)로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 기간 내에 신청 가능하다.

교통비는 1인당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하고 대중 교통비, 택시비, 자가용 유류비 사용액을 카드 포인트로 차감하는 방식이며 출산 후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신청 시 임산부 명의의 신한카드 국민행복카드(신용/체크)가 발급돼야 한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 건강국장은 "분만 의료기관 부재로 인해 진료 지연이나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이동이 어려워지는 일이 없도록 지원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분만 취약지 임산부에게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장 의견을 반영해 정책을 지속 보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