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북미 시장 겨냥한 생산 거점 부각

기아 EV9 /기아
기아 EV9 /기아

한미 관세 협상 최종 타결로 ‘대미투자특별법’이 국회에 제출되는 달의 1일자로 자동차 관세가 15%로 소급 적용될 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전기차 기업들의 한국 생산 확대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중 갈등 장기화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한국이 북미 시장을 겨냥한 대안 생산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스웨덴에서 출발한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는 한국을 대안 생산 거점으로 삼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중국 지리(Geely)그룹이 최대 주주인 폴스타는 그동안 전기차 대부분을 중국 공장에서 생산해 왔다. 하지만 폴스타4는 부산 르노코리아 공장에서 위탁 생산이 이뤄지고 있으며, 시험 생산한 물량 20여 대를 이미 미국 등 해외 시장에 보냈다. 내년부터 본격화되는 부산 공장 생산분 역시 대부분 북미 수출용이다.

부산 공장의 전기차 생산 능력은 연간 약 1만 대 수준이다. 업계는 대미 관세가 15%로 낮아지고 소급 적용이 이뤄질 경우, 생산 물량 확대와 추가 차종 투입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현재 중국산 전기차에 100% 이상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중국 기업 입장에서는 한국 생산의 경제성이 오히려 높아지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제조 인프라의 경쟁력도 이러한 변화에 힘을 싣는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한국은 관세 측면에서도 유리하고, 완성차 생산 생태계가 이미 구축돼 있다”며 “중국 업체들이 북미 수출을 겨냥해 한국을 생산 기지로 활용할 유인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관세 인하는 국내 완성차 업계에도 즉각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현대차는 3분기 기준 대미 수출 관련 관세로 1조8000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가 소급 적용될 경우 상당한 금액이 환급 대상이 된다.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미 수출도 둔화됐다. 10월 자동차의 미국 수출은 30% 가까이 감소했으며, 올해 1~10월 누적 기준으로도 전년 대비 15.9% 줄었다.

업계는 관세 인하가 확정될 경우 미국 시장 수출이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동시에 한국이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전기차 글로벌 공급망의 ‘전략적 허브’ 역할을 강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