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피스 공장 美 내 최대 수준 생산 능력
345kV·500kV 대비 송전 손실 크게 줄여
'적기 공급 요구' 충족해 공급망 주도권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입지 다져"

효성중공업의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초고압변압기 공장 전경 /효성그룹
효성중공업의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초고압변압기 공장 전경 /효성그룹

조현준 효성 회장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장 흐름에 맞춰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초고압변압기 공장에 대한 추가 투자에 나선다. 해당 공장을 미국 내 최대 규모 변압기 생산기지로 확대해 전력 설비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18일 효성중공업은 멤피스 공장에 1억5700만 달러(약 2300억원)을 투자해 2028년까지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을 50% 이상 확대한다고 밝혔다. 조 회장이 AI 전력 인프라 시대에 대비한 '적기대비 체계' 구축을 주문한 데 따른 결정이다. 

효성중공업은 멤피스 공장 인수 이후 이번 투자를 포함해 총 3억 달러(약 4400억원) 규모의 증설을 진행해 왔다. 이번 증설로 멤피스 공장은 미국 내 최대 수준의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을 갖추게될 전망이다. 

멤피스 공장은 현재 미국에서 유일하게 765kV 초고압변압기를 설계·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다. 765kV 초고압변압기는 기존 345kV·500kV 대비 송전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난도가 높은 전력기기로 꼽힌다. 효성중공업은 2010년대 초부터 미국 765kV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현지 송전망에 설치된 765kV 변압기 절반가량을 공급해 왔다. 

미국은 노후 전력설비 교체와 AI 확산에 따른 전력망 확충 등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이다. 주요 전력사업자들이 765kV 초고압 송전망 확충 계획을 본격화하면서 관련 전력기자재 발주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이번 증설을 통해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설비의 '적기 공급 요구'를 충족해 미국 시장 내 공급망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미국 최대 규모의 초고압변압기 생산기지를 기반으로 기술력과 현지 공급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전력기기 '빅4'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조 회장은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가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해 2020년 멤피스 공장 인수를 직접 추진했다. 당시 내부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력시장의 성장성과 부지 확장성을 고려해 과감하게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조 회장은 AI 시대에 도래에 따른 글로벌 전력 인프라 재편을 강조하며 효성중공업이 "전력 흐름·저장·안정성을 통합 관리하는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 회장은 올해에도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장관, 알카이비 카타르 에너지부장관, 파티흐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새프라 캐츠 오라클 최고경영자(CEO) 등 글로벌 IT·에너지 인사들과 연이어 만나 에너지 산업 변화와 협력 기회를 논의해 왔다. 또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스타게이트 등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제안을 받고 검토 중이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