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계좌 240만개 분석
코스피 4100에도 수익 계좌 감소
몰려든 FOMO 투자, 현실은 손실

코스피 지수가 2000선 중반대에서 단기간에 4200선을 돌파하면서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포모(Fear Of Missiong Out, FOMO·소외공포)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 주식 투자로 큰돈을 벌었다는 게시물이 SNS상에서 잇따르며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의 54%는 평균 931만원에 달하는 손실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고객 240만명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수익이 발생한 투자자 비율보다 손실이 발생한 비율이 더 높았다. 해당일은 장중 코스피 지수가 처음으로 4100을 돌파한 날이다.
이날 기준 NH투자증권에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240만1502명 가운데 손실이 발생한 투자자는 131만 2296명(54.6%)이었다. 이들의 손실 금액은 총 12조2154억원으로, 1인당 평균 931만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손실액을 금액별로 나눠보면 1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손실이 발생한 투자자 수가 34만9084명(26.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 미만 31만1107명(23.7%), 300만원 이상~1000만원 이하 21만2944명(16.2%), 1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20만5765명(15.7%) 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도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이 13만9249명(10.6%)이었으며 5000만원 이상 손실을 기록 중인 투자자도 5만3405명(4.1%)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 중년층의 투자 성적이 좋지 못했다. 특히 50대는 60.1%(34만7285명)가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40대도 59.7%(32만158명)가 손실을 봤다.
손실 비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는 미성년자로 33.9%(3만3231명)이었다. 20대도 손실 비율이 44.3%(10만8737명)로 낮은 편이었다. 30대의 손실 발생 비율은 절반 정도인 52.1%(25만8258명)였다.
다만 손실 금액으로 보면, 60대 이상 투자자의 손실액이 평균 1369만원으로 가장 컸다. 50대는 평균 1257만원이고 40대 929만원, 30대 479만원, 20대 215만원, 미성년 153만원 등 연령대가 낮을수록 손실액이 적어지는 모습이었다.
투자 금액별 손실 비율을 보면 총매입 금액이 3억원 이상인 투자자의 손실 비율이 62.0%로 가장 높았다. 1억원 이상~3억원 미만 투자 고객의 손실 비율도 57.9%로 높은 편이었고, 나머지 투자 금액대 구간에서도 모두 50%대 수준이었다.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보유한 종목 중 가장 큰 손실을 가져온 종목은 포스코홀딩스로 파악됐다. 손실 투자자들의 전체 손실 금액 합계에서 해당 종목의 손실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손실 금액 비중)을 계산해 나온 값으로, 포스코홀딩스의 손실 금액 비중은 2.7%다. 이밖에 카카오(손실 금액 비중 2.2%), 금양(1.7%), 에코프로비엠(1.7%), 에코프로(1.3%), 셀트리온(1.2%), SK바이오사이언스(1.0%), 신라젠(0.9%), 엔켐(0.9%) 등도 손실 금액 비중이 높았다.
다만 이들 종목 가운데 카카오를 보유한 고객이 15만4021명으로 가장 많았다. 계좌가 손실 상태인 고객 131만2296명 가운데 8.5%는 카카오를 갖고 있다는 의미다. 카카오 주가는 2021년 16만원대까지 치솟았으나 현재는 6만원 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카카오 주가가 급등했을 당시 매수했다가 가격이 하락하자 주가가 오를 때까지 ‘버티기’에 들어간 투자자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대로 수익이 발생한 고객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3월 중순까지만 해도 5만원대였으나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이달에는 11만원대까지 뛰었다. 연초(1월 2일 종가 5만3400원)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상승했다. 주가 급등세에 수익이 발생한 투자자들의 계좌에서 삼성전자의 수익금 비중은 19.5%에 달했다.
SK하이닉스도 수익 금액 비중이 9.0%, 잔고 보유 고객 수가 9만2359명으로 집계돼 반도체 업종의 상승세가 투자자들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미국 S&P500 지수를 따르는 상장지수펀드(ETF)인 '타이거(TIGER) 미국 S&P500' 보유자는 14만6718명이었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