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영업익 11조 3834억원 돌파해
지난 분기 '역대 최고 실적' 다시 넘어
내년 투자 규모 올해보다 확대될 전망
"AI 메모리 리더십 더욱 공고히 할 것"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연합뉴스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을 주도하며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HBM3E(5세대) 12단 제품이 호조를 보였고 내년에는 HBM4(6세대) 출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29일 SK하이닉스는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38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39% 늘었으며 영업이익률은 47%를 기록했다. 증권가 전망치(11조4142억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회사 측은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12단과 서버향 DDR5 등 고부가 제품 판매가 늘며 지난 분기의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넘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AI 시장이 추론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연산 부담을 일반 서버로 분산하려는 흐름이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DDR5와 eSSD 등 전반적인 메모리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주요 글로벌 AI 기업들이 잇달아 데이터센터 확장을 추진하면서 HBM뿐 아니라 범용 서버용 메모리 수요도 함께 늘어날 전망이다. 

회사는 이에 대응해 최선단 10나노급 6세대(1c) 공정 전환을 가속하고 서버·모바일·그래픽용 D램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낸드 부문에서는 세계 최고층 321단 제품의 공급을 늘려 고객 대응력을 강화한다. 

SK하이닉스는 주요 고객사와 내년 HBM 공급 협의를 모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 중 지난 9월 개발을 완료한 HBM4는 업계 최고 수준의 속도를 구현하며 4분기부터 출하를 시작한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HBM4 공급을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는 급증하는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클린룸을 조기 오픈하고 장비 반입을 시작한 M15X를 통해 신규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보하고 선단 공정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AI 기술 혁신이 메모리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라며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시장 선도 제품으로 고객 수요에 대응하며 AI 메모리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김성하 기자 lysf@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