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입주물량 부족, 당분간 해소 어려워
주식시장 흔들리면 부동산 선호 심화 가능성도

증권가는 이번 10·15 부동산대책으로 부동산 시장 과열이 단기적으로는 완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 가격 조정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증권가는 이번 10·15 부동산대책으로 부동산 시장 과열이 단기적으로는 완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 가격 조정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증권가는 서울 25개 구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으로 묶는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대책에 대해 대체로 회의적이다. 부동산 시장 과열이 단기적으로 완화될 수 있으나, 중장기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6일 신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관련 보고서에서 "예상보다 넓은 지역에 토지거래허가제를 비롯한 규제 지역을 설정했다"며 "과거 정부의 핀셋 규제와 달리 풍선효과를 억제하려고 한 것이라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상승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긍정적인 유동성 환경, 수도권 주요 시장의 제한적 공급에 대한 우려, 시장의 매물 감소 등으로 중장기적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송유림·김예인 한화투자증권은 "수급 불안이 당분간 달라지기 어렵다"며 "글로벌 금리인하 기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아파트 입주물량 부족 문제는 적어도 2027년까지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장 통제 가능한 수요 규제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예상 가능한 수준이지만, 언제나 유동성이 규제를 이겨왔던 것 또한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짚었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겠지만, 향후 2년간 수도권 내 제한적 입주 물량을 고려할 때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건설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인 한편,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주도의 착공 확대로 단기적으로는 시멘트 등 건자재업 전반의 물량 회복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단기 경색으로 거래량은 급감할 수 있으나, 결국 실수요자들의 우량 입지 부동산 선호가 실수요로 집약되면서 가격과 거래량이 회복할 수 있다"며 "이 같은 현상이 서울과 수도권에서 반복되면 이번 정책에 따른 시장 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박 연구원은 "만약 시장 불확실성으로 부동산 외 자산시장(주식 등)의 급격한 시세 변동이 발생하면, 안전자산으로서의 부동산 수요 쏠림이 오히려 더 심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